원문정보
A Study on Message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ardiovascular Disease Campaigns : Focusing on Message Evidence Strategies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campaign message evidence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effects of campaign message attitude, campaign persuasion effect, blood pressure management behavioral intention, and health care behavioral intention that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Through this, the main effect on the campaign effect and various types of interaction effects were verifi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statistics-oriented messages and case-oriented messages examined by campaign message types on campaign effective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management behavioral intentions. Next, the effec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on the campaign effect was verified a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paign attitude, campaign persuasion effect, blood pressure management behavioral intention, and health management behavioral intention. To explore this mechanism in more detail,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ampaign message evidence strategy, gender, and presence or abs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on campaign effectiveness was test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raw interesting conclusions showing that the message evidence strategy effect according to gender showed a different patter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Precisely,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that was significant on campaign attitude, campaign persuasion effect, and blood pressure management behavioral intention was verified. Based on these various results, a customized message strategy for the public was propo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campaign.
한국어
본 연구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캠페인 메시지 증거전략과 성별, 심뇌혈관질환 유병 유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인지적 차원의 캠페인 메시지 태도, 캠페인 설득효과 인식, 캠페인 노출 이후 행동적 차원인 혈압관리 행동의도, 건강관리 행동의 도 효과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2019년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이 가장 높은 40대와 50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했다. 실험절차를 진행한 후,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주효과와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했다. 우선 캠 페인 메시지 유형으로 살펴본 통계중심 메시지와 사례중심 메시지가 캠페인 효과에 미 치는 영향은 혈압관리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뇌혈관질환 유병 유무가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캠페인 태도, 캠페인 설득효과 인식, 혈압관리 행동의도, 건강관리 행동의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 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런 메커니즘을 좀 더 세부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캠페인 메시 지 증거전략과 성별, 그리고 심뇌혈관질환 유병 유무가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3원 상호 작용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메시지 증거전략 효과가 심뇌혈관질환 유병 유무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이는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 로 캠페인 태도, 캠페인 설득효과 인식, 혈압관리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3원 상호작용효 과가 검증되었다. 이런 다양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뇌혈관질환 캠페인의 효과 제고를 위 한 공중 맞춤형 메시지 전략을 제안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헬스 캠페인 맥락에서의 심뇌혈관질환 캠페인
2) 메시지 증거전략: 통계-사례 메시지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실험 자극물과 측정 변수
3) 실험 절차
4) 분석방법
5. 연구결과
1) 조작점검 결과
2) 다변량분산분석(MANOVA) 전제 검증
3) 캠페인 메시지의 증거전략과 심뇌혈관질환 유병 유무가 캠페인 메시지태도, 캠페인 설득효과 인식, 혈압관리 행동의도, 건강관리 행동의도에미치는 영향(연구문제 1 – 주효과 검증)
4) 캠페인 메시지의 증거전략과 심뇌혈관질환 유병 유무, 성별이 캠페인메시지 태도, 캠페인 설득효과 인식, 혈압관리 행동의도, 건강관리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문제 2, 3 – 2원 상호작용효과 검증)
5) 캠페인 메시지의 증거전략과 심뇌혈관질환 유병 유무, 성별이 캠페인메시지 태도, 캠페인 설득효과 인식, 혈압관리 행동의도, 건강관리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문제 4 – 3원 상호작용효과 검증)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