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터넷 개인방송의 유해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제작자와 구독자의 세대별 상호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Internet Personal Web Casting Harmfulness : Focused on the Co-orientational Difference between Creators and Subscribers

김유미, 배지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creators and subscribers about internet personal web casting contents(IPWC)’ harmfulness, based on co-orientational model. Two groups had a high agreement and low congruence toward a harmfulness and negativeness of IPWC. Creators predicted that subscribers would perceive high level of harmfulness of IPWC than themselve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on their agreement and congruence toward a harmfulness and negativeness of IPWC, compared to creators. MZ generation presumed creators would less perceive IPWC’s sensationality, violence, and sexualism than themselves while older generation presumed creators would less perceive IPWC’s violence and sexuality than themselves. Creators had a relatively accurate perception about MZ generation’s perception toward IPWC’s harmfulness,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The older generation had a relatively accurate perception toward creators’perception about harmfulness while an inaccurate perception toward creators’ perception about nega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creators and subscribers and differences between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toward IPWC’s harmfulness and negat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theoretical suggestions were proposed.

한국어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의 성장과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터넷 개인방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 보고 인터넷 개인방송 콘텐츠의 유해성에 대한 제작자와 세대별 구독자의 인식을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유해성 요인(‘선정성’, ‘폭력성’, ‘자극성’)과 그 부정적 영향에 대한 객관적 일치 도는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하지만 주관적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제작자들은 본인들 보다 구독자들이 더 유해성 요인에 대해 높게 인식할 것이라고 과대 추정하고 있었다. 구독자들의 주관적 일치도의 경우 세대별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20-30대 구독자들은 제작자들이 인터넷 개인방송의 콘텐츠들이 유해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그 부정적 영 향에 대해서는 구독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과소추정하고 있었다. 40-50대 구독자의 경 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특히 부정적 영향 요인 중 ‘선정성의 부정적 영향’을 제외한 ‘폭력성의 부정적 영향’과 ‘자극성의 부정적 영향’ 요인에서 과소추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확도의 경우, 제작자들은 20-30대 구독자들의 실제 인식을 제 대로 추정하고 있는 반면 40-50대 구독자들의 경우 유해성 요인(‘선정성’, ‘폭력성’, ‘자 극성’)모두 실제보다 과대 추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20-30대 구독자들이 추정한 제작자 들의 인식과 제작자들의 실제인식을 비교한 결과, 선정적이고 폭력적이며 자극적인 인 터넷 개인방송의 부정적 영향 요인들 모두 과소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40-50대의 구독자들은 유해성 요인(‘선정성’, ‘폭력성’, ‘자극성’)의 경우 대체로 제작자 들의 인식을 정확하게 추정하고 있었지만, ‘폭력성의 부정적 영향’과 ‘자극성의 부정적영향’에서 실제 제작자들의 인식보다 과소 추정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대해 제작자와 구독자간의 인식 차이를 발견하고 특히 구독자들의 세대에 따라 비교 분석해 봤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 다. 무엇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인터넷 개인방송의 유해성 문제 개선 차원에 서 부정적 인식을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논의
1) 인터넷 개인방송에 대한 논의
2) 인터넷 개인방송의 유해성에 대한 논의
3) 상호지향성 모델에 대한 논의
3.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4. 연구방법
1) 조사설계
2) 측정문항
3) 응답자 특성
5. 분석결과
1)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 객관적 일치도
2) <연구문제 2>의 분석결과: 주관적 일치도
3) <연구문제 3>의 분석결과: 정확도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미 Yumi Kim. 호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배지양 Jiyang Bae.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