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숙종대 전라도 위봉산성 축성과 행궁(行宮)의 위치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ibongsanseong Fortress and the Location of Temporary Palace in Jeolla-do in the 17th century

김철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bongsanseong Fortress is a Pogok-style fortress built from 1675 to 1682 on Mt.Dosol and Mt.Chujol in Daeheung-ri, Soyang-myeon, Wanju-gun, Jeollabuk-do, with a circumference of about 8,539m.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Wibongsanseong Fortress, the Annals of King Sukjong only briefly describe, “Jeonju Wibo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Not only is the background, purpose, and function of the construction of Wibongsanseong Fortress unclear, but it is also understood as a fortress to create a Temporary Palace and protect it as a refuge for the portrait of King Taejo, enshrined before Jeonju Gyeonggije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understood the reason for the construction of Wibongsanseong Fortress as a defense system of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as part of the chief defense polic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econdly, Jeoksangsanseong Fortress in Muju, which was called the three major fortresses of Jeolla-do, became Dokjin. In addition, Temporary Palace, one of the facilities of Wibo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around 1682, as a shelter for the portrait of King Taejo before Gyeonggijeon. However, compared to about 2,475 soldiers belonging to Wibongsanseong Fortress with 17cho(哨) of Byeolyeong-gun(別營軍), it is different from 670 soldiers, including Chambong and Ryeong(令), Subok(守僕), Geumhwa-gun(禁火軍), and Chungui-gun(忠義君), to protect Gyeonggij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location of the Temporary Palace in Wibongsanseong Fortress is a project that requires restoration in the future, but despite the discovery of the Seomunji(西門址) area in Wibongsanseong Fortress in 2005 and additional excavation of the Temporary Palace in Wibongsanseong Fortress in 2017-2018, there was no clear result.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emporary Palace by comparing it with the data of Eupji(邑誌) and a map of Wibongsanseong Fort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위봉산성(威鳳山城)은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도솔산과 추졸산에 1675년부터 1682년까지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둘레는 대략 8,539m이다. 위봉 산성 축성과 관련하여 『숙종실록』에는 “전주 위봉산성을 쌓았다.”라고 간단하 게 기술되어 있을 뿐이다. 위봉산성의 축조 배경이나 목적, 기능 등에 대해서 는 분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주 경기전에 봉안된 태조어진의 피난처로서 행궁을 조성하고, 이를 수호하기 위한 산성으로 이해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위봉산성의 축성 이유에 대하여 첫째, 조선후기 숙종 대 관방정책의 일환으로서 하삼도의 방어체제로 이해하였으며, 둘째, 전라도 3대 산성으로 불렸던 무주 적상산성이 독진(獨鎭)이 됨으로써 전주진관 체제 내 입보산성(入保山城)으로서 수축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위봉산성의 시 설중에 하나인 행궁(行宮)은 1682년경 유사시 경기전 태조어진(太祖御眞)의 피 난처로서 조성된 것이다. 다만 위봉산성에 속한 군병은 별영군(別營軍) 17초 (哨)로 약 2,475명과 비교하여 조선시대 경기전(慶基殿)의 수호를 위해서 참봉 과 령(令) 등 관리 2명, 수복(守僕), 금화군(禁火軍), 충의군(忠義軍) 등 670명 이 배속된 것과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위봉산성 행궁(行宮)의 위치는 향후 복원이 요청되는 사업이지만 2005년 위봉산성 서문지(西門址) 일 원 발굴, 2017~2018년 위봉산성 행궁지(行宮址)에 대한 추가발굴이 이루어졌 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이에 조선시대 읍지자료 및 <위봉산 성도> 등과 비교하여 행궁의 정확한 위치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숙종대 관방정책과 위봉산성 축성
Ⅲ. 위봉산성 행궁의 조정 및 위치 고찰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김철배 Kim, Chul-Bae. 문학박사, 임실군청 학예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