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Activity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Physical Function of the Disabled Elderly with Brain Lesion Disorder

김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12-week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physical functions of old people with brain lesion disorder. For the research subjects, 20 elderly with brain lesion disorder(9 men and 11 women) participated in weekly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60 minutes) for 12 weeks. The data was processed with descriptive analysis(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based on the measured record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hanges in IAD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ɑ<.05). Second,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depression,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exercise(ɑ<.05). Third, as a result of changes in body composition, weight and percent body fa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ir changes(ɑ<.05). Fourth, as a result of physical ability, upper limb flexibility(right) was not significant while cardiorespiratory fitness, upper limb muscle strength(left and right), upper limb flexibility(right), and lower limb flexibilit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hanges(ɑ<.05). Through application of this exercise program to the people with various disorders and in disability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important meanings of positive effects that personal health problems of increasing old people with disability will be solved, and medical costs in national level will be resolved.

한국어

본 연구는 12주간 탄성밴드 운동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뇌병변 장애노인 20명(남성 9명, 여성 11명)을 대상으로 탄성밴 드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주 1회(60분) 시행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평균, 표준편차)하였으며, 대응 t 검정(paired t-test)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 결과 IADL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ɑ<.05). 둘째, 우울 변화 결과 운동 종료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ɑ<.05). 셋째, 신체조성 변화 결과 체중과 체지방율의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ɑ<.05). 넷째, 심폐지구력, 상지근력(좌, 우), 상지 유연성(우), 하지 유연성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ɑ<.05). 향후 다양한 장애 유형 및 등 급을 가진 대상자에게 본 운동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증가하는 장애노인의 개인적 건강 문제 해소와 더불어 국 가적 문제로서의 의료비 해소 등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중요한 의미를 줄 것이라 예상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실험절차
2.3 측정항목 및 방법
2.4 자료처리
Ⅲ. 결과
3.1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결과
3.2 우울정도의 변화
3.3 신체조성의 변화
3.4 체력의 변화
Ⅳ. 논의
4.1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4.2 우울의 변화
4.3 신체조성의 변화
4.4 체력의 변화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미 Young-Mi Kim. 삼육대학교 생활체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