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ESSION Ⅳ : 한중문화교류, 좌장 : Li Chao Yang Ph.D., KMPA Diector

디지털자산의 <역엉유해>의 우음과 중국 중고음의 비교

원문정보

<譯語類解>右音與中國中古音的比較

黄亮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類解란 어휘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그 의미를 해설한 것이다. 『譯語類解』는 숙종 16 년에 편찬된 漢語分類 辭典이다. 司譯院이 간행한 類解類에는 漢學의『譯語類解』 蒙學의 『蒙語類解』 淸學의『同文類解』 倭學의『倭語類解』가 있다. 『譯語類解』는 1682년 漢 語역관이었던 慎以行、金敬俊、金指南 등이 함께 편찬한 후, 다시 漢人 文可尙、鄭先甲 등 의 수정을 거쳐 1690년에 정식으로 출판되었으므로 가장 먼저 간행된 類解類書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譯語類解』의 우음과 중국어 중고음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어

司譯院是朝鮮王朝时期官方设置的学习外國語,培养飜譯人才的专门机构。设有漢學(1393 年), 淸學(1393年), 蒙學(1394年), 倭学(1415年), 分别教习漢語, 滿語, 蒙古語, 日本語的机 构, 稱為四學。四學的代表性文獻分別為《譯語類解》(1690年),《同文類解》(1748年),《蒙語 類解》(1768年),《倭語類解》(1780年)。這些文獻都是把詞彙分成天文時令地理等類別,用韓語 解釋其意思的辭書。漢學是四學的中心,《譯語類解》也是最早刊行的四學類書,到目前為止,學 術界進行了很多對譯語類解詞彙類的研究,而對語音類研究並不多見.本研究以此為出發點,來研 究譯語類解右音音韻与中国中古音的對應樣式。通過對譯語類解中漢字及正俗音的對應體系,來分 析當時正俗音的對應樣式及對應規律。從對音的角度出發,反應了17世紀末期中韓兩國發音的對 應樣式及對應規律。對於近代中韓對音的研究有一定價值。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譯語類解』우음에 사용된 자음과 모음
Ⅲ. 『譯語類解』우음의 자음과 한자 중고음의 대응 양상 고찰
Ⅳ. 맺은말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黄亮 황량. Chizhou University, Chizhou City, Anhui Province, Chin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