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lex on Semi-permanent Treatment Satisfac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group on the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lex on semi-permanent makeup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people who had undergone semi-permanent makeup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importance of appearance among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The self-conscious appearance complex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group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internalization, which is a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showed Both the appearance complex caused by others, the appearance complex, and the self-conscious appearance complex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the reference group effect in th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emi-permanent procedures.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semi-permanent procedure, the higher the number of additional treatment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 콤플렉스가 반영구화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 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반영구화장을 시술받은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이를 SPSS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 중 신체적 외모의 사회 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시술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는 시술 만족도에 유의 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인 내면화가 시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이 조절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으나 신체적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차이 를 보였다. 넷째, 외모콤플렉스인 타인에 의한 외모콤플렉스와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 모두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추가적인 시술 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자료수집 및 분석
2.2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2.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 분석
3.3 가설 분석결과
3.4 반영구화장 시술 만족도가 향후 추가 시술 의사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