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습 감정 연구 : 녹화 강의와 실시간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Academic Emotions for Untact General English Class : Focused on Pre-recorded Lecture vs. Real Time Online Class

박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academic emotions of university freshmen depending on the type of online class(pre-recorded lecture vs. real time online class) that they took during the COVID-19 lockdown. 170 freshm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based on the ‘Academic Emotion Questionnaire(AEQ)’, and the statis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felt higher positive emotions for pre-recorded lecture than for real time online class, and higher negative emotions for real time online class than for pre-recorded lecture(p < .01). Secondly, participants felt different emotions depending on English level(p < .01). Thirdly, participants felt different emotions depending on their majors(p < .01).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 engineering felt higher positive emotions than those in humanities & social studies in pre-recorded lecture class. Fourthly, participants felt different emotions depending on gender(p < .01). Female students felt higher negative emotions than male students. Final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COVID-19의 확산으로 전면 비대면 온라인(녹화 강의 및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전환된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습 감정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B대학 신입생 170명을 대상으로 학습감 정검사지(Academic Emotion Questionnaire; AEQ)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 감정이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긍정의 감정과 부정 의 감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긍정의 감정은 녹화 강의수업에서, 부정의 감정은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 더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1), 수준과 무관하게 긍정의 감정은 녹화 강의에서 높았고, 부정의 감정은 실시간 화상수업에서 더 높았다. 셋째, 신입생들의 전공에 따 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습 감정은 긍정의 감정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자연이공계열 학생들이 인문사 회계열 학생보다 동영상수업에 대한 긍정의 감정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신입생들의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학 습 감정은 부정의 감정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온라인 수업유형과 무관하게 여학생의 부정 감정이 남학생의 부정 감정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3.1 설문응답자의 특성
3.2 녹화 강의 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감정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옥희 Ok Hee Park. 배재대학교 기초교육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