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 제도와 실무의 개선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ystem and Practice of Provisional Disposition to Fix Temporary Position

전휴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only 11 provisions governing provisional disposition to fix temporary position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an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rovisional disposition to fix temporary position used in business circles and litigation practice, the legal discipline gap caused by it is filled by the court's practice. The court is trying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in individual temporary disposition cases based on the accumulated decisions, but nevertheless, various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only with current laws and precedents are exposed.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roduction of a provisional order system modeled on the U.S. TRO, the unification of immediate complaint against disposition decisions that have been interrogated by both sides, and expanding the scope of suspension of execution are being discussed. In addition, rational improvement measures are being proposed through academia and practical circles on issu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special rules on provisional disposition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mitigation of supplementation of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Twenty years after the enactment of the Civil Execution Act, it seems that it is time to diagnose the validity of the temporary disposition, and to seek appropriate solutions to the problematic areas, revise the law, and change the way it operates. I hope that this study, which reflects the voices of working-level officials on temporary status disposition,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at rich theoretical discussions will continue on the temporary status disposition system, which is still lacking in academic research.

한국어

민사집행법상 임시지위 가처분에 관해 규율하는 규정은 총 11개 조문에 불과한바, 거래계나 소송 실무에서 활용되는 임시지위 가처분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그 규정이 매우 소략한 편으로, 그로 인해 발생하는 법적 규율의 공백은 임시지위 가처분 사건을 처리하는 법원의 실무 운용에 의해 메꾸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법원에서는 그동안 축적된 결정례들을 바탕으로 개별 임시지위 가처분 사건에서 합리적인 결정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법령이나 판례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문제들이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 TRO를 모델로 한 잠정명령 제도의 도입이나 쌍방 심문을 거친 가처분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로의 불복방법 단일화, 집행정지의 범위 확대 등이 논의되고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상당한 정도로 실무가들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도 지식재산권 관련 가처분에 관한 특칙의 도입이나 간접강제의 보충성 완화 등의 문제에 관해서도 합리적 개선방안들이 학계와 실무계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 민사집행법 제정 이후 20년이 지난 현 시점은, 임시지위 가처분을 포함한 보전처분, 나아가 민사집행 제도 전반에 관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진단하고,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에 관해 적정한 해결책을 모색하여, 입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법 개정을 통해, 실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운용 방법의 변화를 통해 한 단계 발전된 민사집행 체계로의 변신을 시도할 때라고 보인다. 임시지위 가처분에 관한 실무가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이 연구가, 그러한 발전의 과정에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며, 학계의 연구가 여전히 미진한 임시지위 가처분 제도에 관하여 앞으로 풍성한 이론적 논의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잠정명령 제도의 도입
1. 실무상 문제점
2. 미국법상 TRO(Temporary Restraining Order)
3. 잠정명령의 도입 필요성
4. 잠정명령의 활용이 필요한 가처분 유형
5. 개선방안
Ⅲ. 신속한 절차 진행과 가처분결정
1. 실무상 문제점
2. 개선방안
Ⅳ. 가처분이의 제도의 개선
1. 실무상 문제점
2. 개선방안
Ⅴ. 집행정지 제도의 개선
1. 실무상 문제점
2. 개선방안
Ⅵ. 개별 가처분 유형에서의 개선사항
1. 지식재산권 침해금지 가처분
2. 집회·시위금지 가처분
Ⅶ. 가처분 집행방법으로서 간접강제 제도의 개선 – 보충성의 완화
Ⅷ. 추가 논의사항
1. 직권 제소명령의 도입 여부
2. 부당 가처분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명문화
3. 화해 관련 규정의 신설 여부
Ⅸ. 마치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전휴재 CHON, HUY JAE .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