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멸의 미학과 표현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the Aesthetics and Expression of Extinction -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송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continuous work topic, 'extinction,' and describes how the meaning is practiced in the researcher's work. Extinction has been an essential subject in human art for many years of history. Philosophers each came up with a view on death and one's extinction. Heidegger was interested in the fact that death can always come to anyone at any time and believed that fundamental human "anxiety" arises here. Heidegger thought that when faced with these facts and anxiety, one can transition to the 'original life' of understanding his own. Sympathizing with Heidegger's reasoning,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rt can provide humans with the experience of facing extinction in socio-economic situations, where the experience of facing extinction is becoming rare today. For example, Memento mori, Vanitas, Waby-Sabi, and Mono-No-Aware express extinction as an element that makes existence precious, not an object of fear, close to existence, as an immanent form. The last chapter analyzes the meaning of extinction by describing the motivation and working process of creating the researcher's work, Beechtree that Lived in the Jura Mountains - Jura Mountains Drawn with a Pencil, as a direct line of this art. In the researcher's work, extinction plays a role in being close to existence, making existence precious and emphasizing connections with other beings.

한국어

본 논문은 연구자의 지속적인 작업주제인 ‘소멸’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 ‘소멸’이 연구자의 작업에서 실천되는 모습을 서술한 다. ‘소멸’은 인류 역사의 오랫동안 인간에게, 그리고 미술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뤄져 왔다. 철학자들은 저마다 인간의 소멸에 관한 입장, ‘죽음관’을 내놓았다. 특히 하이데거는 죽음이 누구에게든 반드시, 언제든 찾아올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여기 서 인간의 근원적 ‘불안’이 비롯한다고 본다. 하이데거는 이러한 사실과 불안을 직면할 때, 고유한 나 자신을 이해하는 ‘본래 적 삶’으로 이행할 수 있다고 본다. 연구자는 이러한 하이데거의 사유를 공감하며 오늘날 소멸을 직면할 수 있는 경험이 드물 어지는 사회 경제적 상황에서 미술이 인간에게 소멸을 직면할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고 본다. 그 사례로서 메멘토모 리, 바니타스, 와비사비와 모노노아와레는 소멸을 공포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존재를 소중하게 만드는 요소로서, 존재 가까 이 혹은 내재하는 모습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자의 작품 <쥐라산맥에서 살았던 너도밤나무 – 연필로 그린 쥐라산맥>의 창작의 동기와 작업 과정을 서술하고 작품에서 소멸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소멸은 존재의 곁에 가까이 있으면서 그 존재를 소중하게 만들고 다른 존재들과의 연결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인간과 소멸의 미학
2.1. 인간에게 소멸의 의미
2.2. 미술에서 소멸의 의미
3. <쥐라산맥에서 살았던 너도밤나무 – 연필로 그린 쥐라산맥>
3.1. 작품 개요
3.2. 창작 동기 및 작업 과정
3.3. 작품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수영 Song, Sooyoung. 용인대학교 회화학과(미술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