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XR기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XR Based Transmedia Content Design

이지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XR-based transmedia content, focusing on connectivity. This type of connectivity does not mean merely connections between media or content but rather between users and reality with virtuality. This study sees XR-based transmedia as appropriate for realizing connectivity and aims to explore its possibility through an actual project.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cludes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analysis, and by analyzing XR-based cases, the researcher found a lack of connectivity in the current cases and thus conducted a project. With content from ASEAN CULTURE HOUSE, the researcher proceeded with the project with students and designed the concept of friendly characters with colors and easily readable text and intuitive typography considering a family with children. To construct transmedia experiences, publishing-based media was applied for understand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and XR-based media were applied to add new characters and for better storytelling. Then, the publishing-based media were used again to document results and were shared via SNS amongst users. The resulting two prototypes were evaluated by expert heuristic evaluations and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simple design and consistency in media interfaces were positively evaluated with the related categories, whereas the categories related to preventing errors or providing help were criticized. In the interviews, experts complimented the trial-making experiences of new content when circulating the media experience. This study attempts to connect virtual content, providing new characters and events to actually existing media content and then returning to the sharing of the experiences of users to realize connectivity, i.e., the direction of transmedia, as mentioned earli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as the projects were created as prototypes; however, as XR has the potential to be involved in transmedia m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XR-based transmedia content realm, which is currently in the very early stages.

한국어

본 연구는 연결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 XR 기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결성은 미디어 간 혹은 콘텐 츠의 단순한 연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들 간의 연결 그리고 현실과 가상의 경계의 연결을 포함하는 확장된 의미이 다. 본 연구는 XR 기술 기반의 트랜스미디어가 이러한 연결성을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고 보고 실제 제작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및 관련 사례를 탐색하여 XR 기반 사례조사를 통해 파악한 부족한 연결성을 보 완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아세안문화원 자료를 중심으로 학생들과 함께 진행한 본 프로젝트는 어린이 동반 가족 을 고려하여 디자인은 밝고 친근한 느낌의 캐릭터 및 색상, 그리고 읽기 쉬운 텍스트와 직관적인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였다. 트랜스미디어 구성에 있어, 인쇄미디어는 정보를 이해하고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XR 콘텐츠로 새로운 캐릭터를 추가하여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데에 활용하였다. 이후 결과를 인쇄미디어에 기록하고 SNS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여 이용자들 간의 연결을 시도하였다. 도출한 두 개의 프로토타입들은 전문가 휴리스틱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평가하였다. 휴리스틱 분석 평가 결과, 간결한 디자인과 미디어 인터페이스 간의 일관성이 높아 관련 항목에 대한 평가가 높았으나 오류를 방지하거나 도움말을 제공하는 부분과 관련한 항목에서 개선점을 지적받았다. 이후 이어진 인터뷰를 통해 전문가들은 미디어 간의 경험 이 순환되는 방식 속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경험하게끔 하는 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미디어 콘텐츠에 새로운 캐릭터와 사건을 부여하는 가상 콘텐츠를 연결하고 이를 다시 이용자 간 공유의 경험으로 가져오려 는 시도를 통해, 앞서 언급한 트랜스미디어의 방향인 연결성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토타입으로 이루어진 만큼 완성도 측면에서 높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트랜스미디어를 구성하기 위한 XR 적용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본 연구가 현재 초기 단계인 XR 기반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분야에 하나의 사례연구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2. 본론
2.1. 해체와 변형으로써의 ‘트랜스’와 트랜스미디어의 연결성
2.2. XR과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3. XR 기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3.1. 디자인 과정
3.2. 평가
3.3. 소결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지혜 Lee, Ji-hye.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시각디자인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