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지역춤의 전승과 교육

진주검무 전수를 통한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 초등 창의적체험활동 동아리 운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enacity Education through the Training of Jinju Geommu -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lubs -

김명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ity and transmission status of local dance in Jeju Island.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ity and tradition status of Jeju Island dance, we analyzed it using ancient documents (Tamra Sun Calendar, Namsarok, Dongguk Sei, etc.) and newspaper materials (JoongAng Ilbo, Donga Ilbo, Jeju Ilbo, etc.).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Jeju Gyobang was in operation before 1421, and the activities of the Jeju Gyobang officials began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large events such as the Nursing Festival, more performances were performed in the hall than here, and other banquets centered on performances here. Second, the good dance of Jeju Island is performed as a dance of the atrium of the Jeju Island area, and there is a typical example of the Chilmeoridang Yeongdeunggood. Third, Haenyeo dance is a folk dance created by Song Geun-woo in 1964 based on the Haenyeo culture of the Jeju region, and it was indigenous as a representative dance of the Jeju region, but it was created without a prototype, so it has not been satisfied in the historicity part. Haenyeo dance was passed down by his disciples Kim Hee-sook and Sung-ok Sung-ok after Song Geun-woo's death, but the dance trend changed through the process of martial arts and was created by various organizations, so the haenyeo dance was not established. Currently, there are two collections of Yang Yang-ok and Lee Yeon-shim, but it can be said that efforts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 are necessary, such as maintaining the folklore framework of "haenyeo dance" and avoiding the unrestrained creative process through the work of systematizing it further.

한국어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한 방향으로서의 진주검무전수를 통한 인성 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로서, 선행연구의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진주검무와 인성교육의 개념을 확인하였다. 진주검무는 진주검무는 진주지방에 전승되는 여성검무로서 검기무 또는 칼춤이라고도 하며 대궐안 잔치 때 행하던 춤의 하나이다.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신라사람들이 나라를 위해 죽은 소년을 애 도하는 의미에서 춤을 추었다는 설과 논개의 얼을 달래기 위해 진주기생들이 칼춤을 춘데서 비 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진주검무는 연출형식, 춤가락, 칼 쓰는 법 등 모든 기법이 과거 궁중에서 열던 검무의 원형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어 예술적으로 가치가 높다. 최근 범교과적 차원에서 중 요시 되고 있는 인성교육은 창의적 사고 기능이 최종적으로 성취를 위해 작용하는 과정에서 개 인에게 요구되는 내적인 동기나 태도 등을 말한다. 다수의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아동의 예술적 능력뿐만 아니라 인성능력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진주검무 를 창의적체험활동 중 동아리 운영의 교육적 콘텐츠로서 활용하여 아동의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진주검무전수와 인성교육
1. 진주검무의 개념 및 특징
2. 진주검무전수와 동아리 활동 운영
Ⅲ. 진주검무전수를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및 방향
1. 진주검무전수를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2. 진주검무전수를 통한 인성교육의 방향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명주 Kim-Myung Joo. 진주 천전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