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지역춤의 전승과 교육

접촉즉흥을 활용한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Program Using Contact Improvisation

이지혜, 정도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operate a dance education program using contact improvisation. For this, a new contact improvisation danc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comparing the 8 components of Steve Paxton's contact improvisation dance with the core movement structure of Cynthia J. Novack's contact improvis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 was able to accept and express the components of contact improvisation without majoring in dance. Second, although the object and form are different, depending on how you approach it, the elements are the same and change into various forms depending on external elements. Third, more diverse subjects are needed to develop programs related to continuous contact improvis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facilitate public access to the dance genre by stimulating modern people's five senses by restoring relationships based on movements starting from senses and experiencing this process of meeting, contacting, communicating, and looking back through d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접촉즉흥을 활용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를 위해 스티브 팩스톤(Steve Paxton)의 접촉즉흥 무용의 구성요소 8가지와 신시아 진 노박 (Cynthia J. Novack)의 접촉즉흥의 핵심적인 동작 구조를 비교하여 새로운 접촉즉흥 무용교육프 로그램을 개발하여 4차시 수업을 운영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을 전공하지 않아도 접촉즉흥의 구성 요소를 받아들이고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대상과 형태는 다르지만,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요소는 동일성을 가지며 외부적인 요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한 다. 셋째, 지속적인 접촉즉흥에 관련되는 프로그램개발에 있어 더 다양한 대상의 연구가 필요하 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감각으로부터 출발하는 움직임을 바탕으로 굳어진 관계성 회복과 춤을 통해 만나고 접촉하고 소통하고 돌아보는 이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현대인의 오감을 자극하여 춤 장르에 대한 대중적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접촉즉흥과 즉흥무용
2. 접촉즉흥 무용의 예술적‧교육적 가치
3. 스티브 팩스톤, 신시아 진 노박의 접촉즉흥 핵심요소 비교
Ⅲ. 접촉즉흥을 활용한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1. 연구 계획
2. 교육프로그램 내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혜 Lee-Jihe. USD현대무용단
  • 정도겸 Jeong-Dogyeom. 채운문화예술원 대표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