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지역춤의 전승과 교육

제주도 지역춤의 역사 및 전승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Local Dance on Jeju Island

최길복, 이해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ity and transmission status of local dance in Jeju Island.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ity and tradition status of Jeju Island dance, we analyzed it using ancient documents (Tamra Sun Calendar, Namsarok, Dongguk Sei, etc.) and newspaper materials (JoongAng Ilbo, Donga Ilbo, Jeju Ilbo, etc.).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Jeju Gyobang was in operation before 1421, and the activities of the Jeju Gyobang officials began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large events such as the Nursing Festival, more performances were performed in the hall than here, and other banquets centered on performances here. Second, the good dance of Jeju Island is performed as a dance of the atrium of the Jeju Island area, and there is a typical example of the Chilmeoridang Yeongdeunggood. Third, Haenyeo dance is a folk dance created by Song Geun-woo in 1964 based on the Haenyeo culture of the Jeju region, and it was indigenous as a representative dance of the Jeju region, but it was created without a prototype, so it has not been satisfied in the historicity part. Haenyeo dance was passed down by his disciples Kim Hee-sook and Sung-ok Sung-ok after Song Geun-woo's death, but the dance trend changed through the process of martial arts and was created by various organizations, so the haenyeo dance was not established. Currently, there are two collections of Yang Yang-ok and Lee Yeon-shim, but it can be said that efforts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 are necessary, such as maintaining the folklore framework of "haenyeo dance" and avoiding the unrestrained creative process through the work of systematizing it further.

한국어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춤의 역사성 및 전승현황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제주도 춤의 역사성과 전승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고문서(탐라순력도, 남사록, 동국세시기 등) 및 신문자료(중앙일보, 동아일보, 제주일보 등)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교방은 1421년 이전부터 운영되었으며 제주교방 관기들의 활동 은 조선 초기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7세기 제주교방에서는 양로연과 같은 큰 행사에 서는 여기(女妓)보다는 무동의 공연이 더 많이 행하여 졌으며, 그 외 연회에서는 여기(女妓)의 공연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제주도의 굿춤은 제주도 지역 심방의 춤으로 펼쳐지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는 칠머리당영등굿이 있다. 셋째, 해녀춤은 제주지역의 해녀문화 를 기반으로 1964년 송근우에 의해 창작된 민속춤으로서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춤으로 토착화 시켰으나 원형이 없이 창작됨으로서 역사성 부분에서는 충족되지 못한 면이 있다. 해녀춤은 송 근우가 타계한 후 제자인 김희숙과 양성옥에 의해 전승되었으나 무대화하는 과정을 통해 춤의 경향도 달라지고 여러 단체에서 창작화 되면서 해녀춤이 정립되지 못하였다. 현재 양성옥과 이 연심의 무보집이 나와 있으나 이를 더 체계화하는 작업을 통해 ‘해녀춤’에 관한 민속적 틀을 유 지하고 무절재한 창작화 과정을 지양하는 등 원형보존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제주도 지역춤
1. 제주교방의 정재무용
2. 제주도 굿춤 칠머리당영등굿
3. 해녀춤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길복 Choi Gilbok. 제주무용협회장
  • 이해원 Lee Haewon. 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