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mparison of Support Policies for Supply Chain Management(SCM) in COVID-19

원문정보

코로나19 상황에서 주요국의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지원정책 비교

Sujin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reorganization of Korea's supply chain and resilience development by identifying policy measures and future support directions of each country to cope with the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SCM) crisis caused by COVID-19.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In this Literature research through secondary data, for analysis of policies for resilient global supply chain restoration in facing with natural disasters and corona re-spreading, United States and China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since they are countries that have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SCM of Korean companie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for the reorganization and recovery of the global SCM, China is supporting Dynamic Zero Corona and Made in China 2025, US is supporting the Supply Chain Executive Order Report and Trusted Value Chain(TVC), Europe is supporting the Directive on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and Important Projects of Common European Interest(IPCEI), and that Korean companies need to prepare in advance and pay attention for global SCM reorganization and recovery. Conclusions : Korean companies, as a preparation for global supply chain crises such as blockade and natural disasters, should secure additional supply chains at home and abroad, conduct pre-education and simulation training, and identify raw materials for domestic products and secure their stock in advanc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manufacturing and high-tech industries are key area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reshoring measures are likely to be helpful in establishment of resilient and stable global SCM. Since the role of the service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have been emphasized, it is considered that participa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GVC) of the service industry should be encouraged and promoted.

한국어

본 논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글로벌 공급망관리 위기를 대처하기 위해 국가별 정책방안과 향후 지원 방향 등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공급망을 재편하고 회복력을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 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주요국인 중국, 미국, 유럽이며 우리나라 기업 공급망 관리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국가이기 때문에 지원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재해, 코로나 재확산 시 탄력적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방법은 2차 자료를 통한 문헌연 구로 진행된다. 연구결과, 글로벌 공급망관리를 재편하고 회복하기 위하여 중국은 Dynamic Zero COVID, Made in China 2025, 미국은 공급망 행정명령 보고서, Trusted Value Chain 그리고 유럽은 기업 지속 가능성 실사 지침, IPCEI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한국 업체는 이에 대비한 사전 준비와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기업은 국내 또는 여러 국가에 제2, 3의 공급망을 추가 확보하고, 글로벌 공급망 비상상황(봉쇄, 자연재해 등)에 대비하여 사전교육 및 모의훈련을 실시함으로써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국내에 보유 중인 제품의 원자재 및 재 고를 사전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국가에서 공급망 대책 방안으로 ‘리쇼어링 (Reshoring)’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스마트공장과 같은 고위기술산업군(첨단제조업) 상용화 가 리쇼어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 판단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제조업이 나 첨단기술이 주된 국가경쟁력 핵심분야인 만큼 탄력적이고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관리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업 글로벌가치사슬(GVC)' 참여가 활성 화 되어야 하며, 혁신인프라, 연구개발 등 비가격 경쟁력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품질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제조공정 전·후의 서비스업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디지털혁신을 통해 제조· 서비스가 융합되는 '제조업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으며 제품기획-제조(생산)-유통-사후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공급망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부, 민관, 기업, 학계 등이 이를 선도할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관심을 가지며 함께 협력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Trends of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Ⅲ.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Support Policy in major countries
Ⅳ.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Sujin Lee 이수진. Full time research, Sungkyu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