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music therapy using therapeutic songwriting on reducing job-seeking stress and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students in junior and senior in university, preparing for employment, of which 15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e-test, a cognitive behavioral music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rapeutic songwriting, consisting of 10 sessions, twice a week and 50 minutes, and intervention was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s a test tool, Cornell Medical Index (CMI) and CDMSES-S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Scale-Short For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e-po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s employment stres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e-post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ses studies showed that cognitive behavioral music therapy using therapeutic songwriting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as a significant therapeutic tool to reduce job-seeking stress and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scope of music therapy, reducing job-seeking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developing program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the university field.
한국어
본 연구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음악치료가 취업 준비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감소 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취업을 준 비하는 대학교 3, 4학년 30명이며, 이 중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에는 주 2회, 5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된 치료적 노래 만들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음 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관련 중재를 적용하지 않았다. 검사 도구로는 코넬 스트 레스 측정법(Cornell Medical Index: CMI)과 CDMSES-SF(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취업 스트레스 사전-사 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통제집단과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 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통제집단과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음악치료가 취업 및 진로 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대학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 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목차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3. 측정 도구
4. 연구 절차
5. 인지행동 음악치료 프로그램 구성
6. 자료 분석
연구 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2. 음악 중재 효과의 분석 결과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