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I교육을 위한 초등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K-12 Digital Culture Curriculum for AI Edcuation

신수범, 한정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gital culture area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partially overlaps with information ethics, and this study proposed an elementary school-centered digital culture curriculum, a detailed area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irst, as a leading overseas case in the field of digital culture, we analyzed the secure online interaction, which is the core content of the K12CS frame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K's computing curriculum. We presented by categorizing it into four digital areas: content, communication method, copyright, and job expl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omestic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ield conditions. In addition, educational goals were st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the validity of a group of field teachers majoring in in inform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as investigated to confirm the vali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the contents set were suitable except for some of the detailed goals of the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ages. Accordingly, a digital culture curriculu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as present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detailed goals of the first graders.

한국어

디지털 문화 영역은 인공지능교육의 분야 중 인공지능 소양 영역의 한 분야로서 정보윤리와도 일부 겹치는 부분으로서, 이 연구는 인공지능교육의 세부 영역인 초등 중심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먼저 디지털 문화 분야의 선도적인 해외 사례로서 미국의 K12CS 프레임워크와 영국의 컴퓨팅 교육과정의 해당 영역 핵심 내용인 안전한 온라인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국내 교육환경과 현장 여건에 맞추어 디지털 기반 콘텐츠, 소통법, 저작권, 직업 탐구의 4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 학교급에 맞추어 교육목표를 진 술하였으며 그에 따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인공지능 전공 현장교사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를 조사하였 다. 분석 결과 초등 1학년 단계의 세부 목표의 일부를 제외하고 설정한 내용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초등 1학년의 세부 목표를 수정·보완해서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 연구 분석
2.1 AI교육과 디지털 문화 교육
2.2 주요 국가의 디지털 문화 교육영역 분석
3. 디지털 문화 교육영역과 목표 설정
3.1 디지털 문화 교육영역 분류
3.2 디지털 문화 영역 목표와 세부 요소
4. 타당도 검증
4.1 대상 및 분석방법
4.2 타당성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수범 Soo-Bum Shin. 공주교육대학교
  • 한정혜 Jeong-Hye Han. 청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