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extbooks, illustrations are used to easily explain concepts and guide the exploration process. Therefore, the illustration should be presented accurately and easily.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research related to illustration analysis at all in the case of the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unit. Therefore, among the six practical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illustration of the 'software education' unit was analyzed in terms of type, function, and use, and provided guidelines for the adoption of textbooks, curriculum research, and next textbook develop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six practical textbooks, all textbooks used more than one illustration per page, and the types of illustrations were used in the order of screen capture, picture, picture, table, illustration, illustrative function, and use.
한국어
교과서에서 삽화는 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탐구과정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삽화를 정확하고 이해 하기 쉽게 제시해야 한다. 그런데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경우, 삽화 분석 과 관련된 연구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 과 교과서 중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삽화를 종류, 기능, 용도 측면에서 분석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 6종의 실과 교과서를 분 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가 페이지 당 1개 이상의 삽화를 사용하였고, 삽화의 종류는 화면캡쳐, 그림, 만화, 사진, 표, 도해 순, 삽화의 기능은 설명적 기능, 수행적 기능, 장식적 기능, 예시적 기능 순, 용도는 활동안내, 자료제공, 결과제시, 동기유발 순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절차
2.2. 분석방법
3. 연구 결과 분석
3.1. 교과서별 삽화 종류 분석
3.2. 교과서별 삽화 기능 분석
3.3. 교과서별 삽화 용도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