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 초등교사의 확장현실 교육 및 현장 적용 사례 연구

원문정보

Case study of extended reality educa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조정희, 홍갑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corporating the concepts of extended reality technologies. This program contained the basic skills necessary for them to utilize in their future classrooms. To accomplish this, 12 undergraduate students of various majors enrolled in one of Korea’s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a total of 6 times over 6 weeks, they participated in a training program learning the basic concepts of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as well as creating their own education software to use in simulated clas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future research efforts, this study found it would be beneficial to: 1) expand the relevant support equipment, 2) provide students with preliminary, background knowledge of text-based programming, 3) introduce short-term, more intensive training, and 4) improve the survey methods for this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확장현실(extended reality)의 기초 소양 강화를 위해 관련 기술 들의 기본 개념을 이해시키고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본기를 갖출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 하는 것이며,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 해, 국내의 한 초등교원 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다양한 전공의 학부생 1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고 6주에 걸쳐 서 총 6회 동안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의 기본적인 개념 및 콘텐츠의 제작 과정을 습득하기 위한 연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해당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기반으로 초등 교육에 활 용하기 위한 수업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여 6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시범 수업을 시행하도록 하였 으며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향후 연구의 개선을 위해서는 1) 교육 장비들의 확충 및 2) 단기간의 집중 연수 방식을 고려해야 하고, 3) 텍스트 프로그래밍의 선제 교육 및 4) 설문 조사 방식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동향
3. 관련 교육 동향
4. 연구방법
4.1. 연구목적
4.2. 연구대상
4.3. 연구절차
5. 연구과정
5.1. 차시별 교육설계
5.2. 교육 현장 적용
6. 연구 결과
7.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정희 Junghee Jo. 부산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홍갑주 Gapju Hong. 부산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