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5분과 : 경제와 전문경영, 좌장: 이성철 (강남대)

코로나19 이후 국내 주가의 변화가 주요 국가의 환율에 선행하여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Domestic Stock Prices and Exchange Rates of Major Countries after COVID-19

김주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xchange rates and domestic stock index of 5 countries for 3 years and 10 months from January 1, 2019 to October 21, 2022 using the VAR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Granger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tock index had a preemptive effect on the five major exchange rates (Dollar, Yuan, Yen, Euro, and Pounds). Second, the stock index appeared to have an effect on all five exchange rates up to a certain time lag before disappearing, but all five exchange rates appeared to have very little or no effect on the stock index. Third, the stock index responded with a weak influence to the five major exchange rates, but the five major exchange rates responded with a stronger influence by the stock index indicating that the stock index affects the exchange rates of major countries. It could be inferred to support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shock response function analysis results. Comb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a meaningful study that the stock index as a leading index to explain the economic outlook precedes and influences the exchange rate, which is one of the macroeconomic indicators. However, among the five exchange rates after Corona 19, only the ye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tock index, which showed a phenomenon in which the exchange rate fell and the won value appreciated differently from other exchange rates. It will be able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xchange rate management to companies.

한국어

본 논문은 2019년 1월 1일부터 2022년 10월 21일까지 3년 10개월 동안 5개국의 환율과 국내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하여 VAR모형에 의하여 선행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결과 주가지수는 5개 주요 환율(달러, 위안, 엔, 유로, 파운드)에 대하여 선행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주가지수는 5개 모든 환율에 대하여 일정 시차까지 영향을 미치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개 환율은 주가지수에 대하여 매우 미미하거나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주가지수는 5개 주요 환율에 의하여 약한 영향력으로 반응하였지만, 5개 주요 환율은 주가지수에 의하여 좀 더 강한 영향력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주가지수는 경기전망을 설명하는 선행지수로서 거시경제지표의 하나인 환율에 선행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유의미한 연구라 사료된다. 다만, 코로나 19 이후 5개 환율 중에서 엔화만이 주가지수에 대하여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다른 환율과는 상이하게 환율이 하락하여 원화가치가 평가절상하는 현상을 나타낸 것은 국제무역을 하는 다국적 기업들에게 환율관리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환율이 국내 금융시장 및 수출입업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율의 움직임을 통하여 경제현상을 진단하고 관리해야 하는 정책당국자에게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Ⅱ. 예비분석
1. 기초통계량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단위근 검정
4. 가설의 설정과 분석 모형
Ⅲ. 실증분석 결과
1. 그랜저 인과관계(Granger Causality) 분석결과
2.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분석결과
3.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주일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