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부터 거시환경 및 관광분야 변화의 흐름과 전망을 포 괄한다. 그리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관광산업의 성장 아젠다와 전략적인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포스트코 로나 시대의 시간적 범위는 코로나19 종식시점부터 일반적인 장기전망 시점이자 글로벌아젠다인 지속적인 장 기가능발전 달성시점으로 제시된 10년 후인 2030년까지로 장기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 의 종식 시점은 전 세계적으로 백신의 보편적 보급이 이루어져서 국가 간 자유로운 이동이 이루어지는 시점이 될 것이다. 세계관광기구에(UNWTO)에 따르면, 많은 관광 전문가들은 2023년 전에 국제관광이 코로나19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고 있다(Wold Tourism Organization (UNETO,2021c).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실시한 전문가 조사 결과에서도 국제관광이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는 시점에 대 해서 2024년일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한국문화 관광연구원, 2020a). 이에 코로나19 종식이후의 미래에 대한 관광산업의 시간적 범위는 2021년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단기적으로는 2~3년 후부터 그리고 사회 경제적 변화에 대한 중장기적 영향을 고려하여 10년 후인 2030년까지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유의미하다고 보여진다. 다만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관광산업 성장아젠다와 전략적인 메카니즘을 제시 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며, 시대에 뒤떨어진 전통적인 관점이 아니라 관광산업도 하나의 서비스마케팅전략 이 같이 수행되어야 한다는데 주안점을 두고, 전략적인 관광산업 성장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거시적인 관광산 업 환경의 변화를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코로나19 감염병의 확산은 관광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다양한 업종과 활동들에 광범위한 영 향을 미치고 있어서 관광산업의 성장 아젠다는 관광산업의 업종별로 구체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포괄적인 범 주로 접근하여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미래 이슈들 중에서 관광산업에 영향을 중 가능성이 나 관광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이 클 것으로 전망되는 주요 이슈들을 도출하고 분석한다. 또한 발굴된 아 젠다 후보군중에서 관광산업의 성장 방향성과 연계되는 사업들을 선정하고 단기, 중기, 장기적인 마케팅전략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