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다문화사회 이행기 다문화융합세대를 위한 다문화 정책 방안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Multicultural Policy for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in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김홍길, 임영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measures for the social settlement of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in order to minimize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in a situation where the transition of Korean society to a multicultural society is inevitabl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olicy considerations for immigrants who have established a foothold in Korean society due to prolonged stays rather than the approach tha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worke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s a replacement for foreign workers due to a lack of jobs is necessary. Second, if Korean society helps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to form an open attitude that transcends ethnic and racial boundaries in adolescence amid the spread of multiculturalism an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ethnic groups and ethnic groups, it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stability of Korean society. Third, 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who will become the leaders of future Korean society, and to develop appropriate measures and scientific verifica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In conclusion, in order for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residing in Korea to settle down, it is time for an active policy improvement plan to ensure a happy lif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or discrimination in occupational and social status in Korean society in economic term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내 외국인 인적 구성변화 등 다문화사회로 이행이 불 가피한 사회적 상황에 진입함에 따라 이에 따른 사회갈등과 문화충돌을 최소화하 기 위하여, 2000년대 이후 다문화융합세대의 사회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내 다문화 현상, 이주민과 주류 한국인사회의 사회통합문제, 차세대 다문화주의 정책의 방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다문화사회 이행기 외국인력 도입이 단지 일자리 부족에 따른 외국인력의 보완 대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체류의 장기화로 한국사회에 터전을 잡은 외국출신 이주자들의 사회정착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사회가 다문화주의 확산 속에서 미래 주역이 될 다문화융합세대들이 가진 특수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편견과 차별적인 태도를 견지한다면, 향후 한국사회의 집단적 갈등은 더욱 심화 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정부가 청소년기 다문화융합세대에게 민족과 인 종을 초월한 개방적 태도를 수용하고 다른 민족이나 인종과 포용적인 관계를 형성 하도록 도와준다면 그 경험은 성인기 미래 한국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셋째, 이를 위해서는 미래 한국사회의 주역이 될 다문화융합세대의 다문화 수 용성을 향상해주는 다양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척도와 과학적 검증이 가능한 다문화 정책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 다문화사회 이행기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한국 거주 다문화융합세대들이 한국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삶의 질 개선을 통한 행 복한 삶의 보장과 경제적 측면에서 직업적 사회적 지위상의 안정과 차별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다문화 개선방안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연구목적
II. 초국적 이주의 다변화와 국내 다문화사회 추이
1. 외국인력 수용요인과 정책적 동기
2. 국내 체류 외국인 분포와 다문화 이주-정주 여건의 다변화
III. 한국다문화사회 이행과 다문화융합세대 위기
1. 다문화사회 이행기 동향과 정책적 딜레마
2. 다문화융합세대 규모 변화와 사회정착 실태
IV. 다문화융합세대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문화 정책
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상생과 공존형 다문화 정책
2. 유럽 주요국가의 다문화 교육 추진 사례
3. 다문화융합세대의 다문화 교육 정책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홍길 Kim, Hong-Gil.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학예연구사
  • 임영언 Yim, Young-Eon. 조선대학교 국제문화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