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서와 길상, 해학의 변주 : 사찰 벽화의 虎圖 도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iger Painting of Temple Murals

강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 study to find out the type of Tiger Paintings(虎圖) expressed in temple murals in the late 18C and early 20C period and the cause of new iconography. In Chapter 2,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type and personality of Tiger Paintings. The mystical white tiger is an auspicuous sign(吉兆) and combines with various auspicious animals(瑞獸) and plants in the guardian deity, strongly reflecting the character of the auspicuous symbols(吉祥).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changing the white porcelain tiger pattern from 18C to 19C's 'Tiger and Magpie and Lion Painting' and was analyz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nd appear first in royal kilns(官窯) white porcelain(白磁) paintings than in temple murals. In Chapter 3, we first analyzed the auspicious White Tiger Paintings(白虎圖) and Magpie and Tiger Painting which are strong in characteristics of auspicuous symbols expressed in temple murals. Accordingly, in 1798, Jang Gyeong-gak of Seonamsa Temple, the royal shrine, was viewed as a work that showed the early style of Magpie and Tiger Painting. Next, the auspicious such as Daeungjeon Hall of Beomeosa Temple(1871), Eungjin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1886), and Myeongbujeon Hall of Tongdosa Temple(1890) were combined with to strengthen the public's characteristics. Among them, Beomeosa Temple and Bongjeongsa Templ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work by a group of painters in the same region due to similar arrangements and styles of animals and plants on the road around them. In the next second section, we analyzed , which is ‘a drawing in which two rabbits help smoking tiger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find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drawing. , painted on the outer wall of a temple in Gyeonggi-do, is a painting that helps two rabbits bite a tiger with an Along pipe. Among them, the mural (1878) in Myeongbujeon Hall of Hwagyesa Templ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being a work of a knowledgeable artist by material, composition, and painting method. In particular, the mural styles such as Yongjusa Temple, Paldalsa Temple, and Semasa Temple were similar, so it was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by Buddhist monk painters ‘Jeongam(靜庵)’ in the 20C Gyeonggi area. In other words, it clearly proved the hypothesis that the ‘Tale of Hwang Paldo(黃八道傳 說)’ in Chungcheong Province was transformed in Gyeonggi Provinc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 early publication of the Traditional Oral Tale(口 碑說話) survey report nationwide, the popular ‘tobacco-bloating tiger’ was no longer a valiant and an austere animal due to the publication of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The foolish strong tiger was compared to the corrupt and incompetent class of power at the time, the Japanese who used coercion and ferocity, and the sly weak rabbit was compared to the people who avoided crisis with weakness and weakness. This was the last step in the conversion of an auspicuous sign(吉兆) and a tiger from the Auspicuous symbols(吉祥辟邪) painted on the temple murals into satire and humorous figures.

한국어

이 글은 18C 말에서 20C 전반기 사찰 벽화에 표현된 백호도, 호작도, 호연도, 이토시호봉연도의 유형과 도상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2장에서는 호도의 유형과 성격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신령스러운 서수 백호는 상서로운 吉兆이자 수 호신에서 다양한 길상동식물 즉 용, 사자, 봉황, 토끼, 소나무, 대나무 영지 등과 결합하며 길상벽사의 상징성을 강하게 반영하게 된다. 특히 백자에 시문된 호문 이 17C 호록에서 18C 호작도나 호작사문, 19C 호연도 등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 펴 백자 호작도나 호연도가 사찰 벽화나 회화 작품보다 앞선 시기 관요 백자문양 으로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 3장에서는 먼저 사찰 벽화에 표현된 상서로운 백호도와 길상벽사적 성격 이 강한 호작도를 분석해 보았다. 이에 1798년 왕실 원당인 순천 선암사 장경각의 백호도를 호작도의 초기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보았고, 부산 범어사 대웅전 (1871년), 안동 봉정사 응진전(1886년), 양산 통도사 명부전(1890년) 등의 상서로 운 백호도가 도상적으로 호작도와 결합되고 주변에 다른 길상적인 도상을 배치하 여 보다 민중적이고 대중적인 길상벽사의 상징성을 강화시키는 양상을 살펴보았 다. 그중 부산 범어사와 봉정사는 호도 및 주변 길상 동식물의 배치 구성과 양식, 기법 등이 유사해 동일 지역의 화가군에 의한 작품일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특히 경기지역 용주사, 팔달사, 세마사 등의 사찰 외벽에 그려진 두 마리의 토 끼가 장죽을 물고 있는 호랑이를 도와주는 형상인 <이토시호봉연도>에 주목하 여 벽화 제작자가 20C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 ‘정암’일 가능성을 제시 해 보았고, 서울지역의 화계사 등의 벽화는 정암의 이토시호봉연도를 경험한 인 물에 의해 제작됐을 가능성도 추정해 보았다. 또한 <이토시호봉연도>가 서울· 경기 지역에 국한되어 등장하기 때문에 단순히 사람이 호랑이로 변한 충청도 ‘황 팔도 전설’이 경기지역에서 ‘담배 피는 호랑이로 변형’된 것이라는 가설을 확증해 주었다. 일제강점기 초기 전국의 신화전설설화민담 조사보고서 발간 이후 한글전래동 화의 출판에 기인하여 유행한 ‘담배 피는 호랑이’는 더 이상 용맹하고 상서로운 서 수가 아니었다. 당인들은 어리석은 강자 호랑이를 당시 부패하고 무능했던 권력 층, 강압과 흉포를 일삼았던 일본인에 비유했고, 교활한 약자 토끼는 약자임에도 지기와 영약함으로 위기를 모면하는 민중에 비유하였다. 이는 사찰 벽화에 그려 진 상서와 길상벽사의 호랑이가 시대상을 반영하여 풍자와 해학적 성격까지 포함 하는 도상 변화로 해석해 보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호도의 유형과 성격
1. 호도의 유형
2. 조선 백자의 虎文
Ⅲ. 사찰 벽화에 표현된 호도의 유형과 성격
1. 祥瑞에서 吉祥으로: <白虎圖>와 <虎鵲圖>
2. 풍자와 해학: ‘황팔도 전설’과 <二兎侍虎捧煙圖> 도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강영주 Kang, Young-Ju.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