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기 열등감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 between Inferiority Feeling and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천민우, 이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eriority feeling, self-acceptance and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examiming the influence of the inferiority feeling on social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feeling and social anxiety.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feriority feeling, self-acceptance and social anxiety. Secon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inferiority feel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feeling and social anxiety can be controlled by self-acceptance. Specifically, self-accepta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i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acceptance can weaken the impact of social anxiety, mitigating the level of inferiority feeling experienced during adolescence. Therefore, in the search for treatment methods for maladaptive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feeling and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I propose an approach in terms of self-acceptance that enable teenagers to accept their feelings, thoughts and senses as they a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열등감, 자기수용, 사회불안의 상관관계 및 열등감의 사회불안에 대한 영향력을 살 펴보고, 열등감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열등감과 사회불안 간에 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자기수용과 열등감, 사회불안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 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열등감은 사회불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청소년기 열등감 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 체적으로 자기수용은 사회불안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수행불안에 대하여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열등감과 사회불안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기수용이 이 둘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완충제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기수용이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열등감의 수준을 완 화시킴으로써 그로 인해 발생할 사회불안의 충격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 는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기 열등감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야기될 수 있는 부적응적 문제들에 대한 치료방법을 모색함에 있어, 청소년들 스스로가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사고, 감각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자기수용 적 관점의 접근을 제안하는 바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기 열등감
2. 청소년기 사회불안
3. 열등감과 사회불안
4. 자기수용
III.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
2. 청소년기 열등감, 사회불안, 자기수용의 상관관계 분석
3. 청소년기 열등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4. 청소년기 열등감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V.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천민우 Chun, Min-woo.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 이지연 Lee, Ji-yeon.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