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TS응용서비스

C-ITS 기반 PVD를 활용한 차량 내 경고정보의 운전자 주행행태 영향 분석

원문정보

A Study to Evaluate the Impact of In-Vehicle Warning Information on Driving Behavior Using C-ITS Based PVD

김탁영, 김호선, 강경표, 김승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road system with CV(Connected Vehicle)s,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a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ITS), provides various road information to drivers using an in-vehicle warning system. Road environments with CVs induce drivers to reduce their speed or change lanes to avoid potential risks downstream. Such avoidance maneuvers can be considered to improve driving behaviors from a traffic safety point of view. Thus, empirically evaluating how a given in-vehicle warning information affects driving behaviors, and monitor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re essential tasks for traffic operator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 of in-vehicle warning information, this study develops a method to calculate compliance rate of drivers where two groups of speed profile before and after road information is provided are compared. In addition, conventional indexes (e.g., jerk and acceleration noise) to measure comfort of passengers are examined. Empirical tests are conducted by using PVD (Probe Vehicle Data) and DTG (Digital Tacho Graph) data to verify the individual effects of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C-ITS constru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s that drivers tend to decelerate their speed as a response to the in-vehicle warning information. Meanwhile, the in-vehicle warning information helps drivers to improve the safety and comport of passengers.

한국어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차량과 차량 또는 차량과 인프라 간의 양방향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전방의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및 시스템을 의미한 다. C-ITS 환경에서는 Vehicle-to-Everything(V2X) 기반의 경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감속을 유도하고, 급격한 감속과 가속을 지양하도록 하여 주행행태를 안정적으로 개선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서울시 C-ITS 기반의 경고 정보의 개별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고정보에 대한 순응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추가로 주 행안전성 변화를 분석하여 경고정보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한다. 순응여부는 정 보 제공 유무로 구별되는 사전 PVD (Probe Vehicle Data)와 사후 PVD의 속도 분포를 추출하여 비교하였으며, 주행안전성 평가는 Jerk와 가속소음을 계산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량적 분 석을 위해서 서울 C-ITS 사업기간동안 수집되었던 PVD와 부족한 데이터 수집을 보완하고자 DTG (Digital Tacho Graph) 데이터를 추가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순응도 분석결과 충분한 유효 샘플이 수집된 경고정보에 대해 운전자는 감속운행행태를 보였으며, Jerk와 가속소음과 같은 주행안전성 지표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경고정보 제공으로 인해 주행안전성이 개선되었음 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실도로 데이터를 활용한 경고정보 제공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
2.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경고정보 제공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
3. 기존연구와의 차별점
Ⅲ. 연구방법론
1. 순응도
2. 주행안전성
Ⅳ. 분석 지역 및 데이터
Ⅴ. 결과
Ⅵ.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탁영 Tagyoung Kim. 한국교통연구원 모빌리티전환연구본부 연구원
  • 김호선 Ho Seon Kim.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박사과정
  • 강경표 Kyeong-Pyo Kang. 한국교통연구원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 김승범 Seoung Bum Kim. 경상국립대학교 도시공학과/공학연구원(ERI)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