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경상남도 남해군 망운산의 식생군집구조 분석

원문정보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Mt. Mangun, Namhae-gun, Gyeongsangnam-do

이운자, 장원영, 이민숙, 이재완, 정용주, 김동후, 김정수, 추갑철, 김민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23 plots(400㎡) were set up to understand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Mangunsan Section. three groups of Quercus acutissima-Carpinus laxiflora-Sorbus alnifolia group, Carpinus laxiflora-Styrax japonica-Cornus kousa group, Q. mongolica group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In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es, it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such as between Q. variabilis and Sorbus alnifolia; Q. mongolica and Lespedeza maximowiczii; Fraxinus sieboldiana and Rhododendron yedoense; Lespedeza maximowiczii and Symplocos chinensis; Rhus sylvestris and Q.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Q. serrat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Styrax japonicus and Stewartia pseudocamellia, Cornus controversa,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glauca; Stewartia pseudocamelli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glauc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Lindera glauca. The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from 0.5930 to 0.8205. As for the distribution by DBH grades, in cluster I, Carpinus laxiflora dominates, and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competition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In Cluster II, the DBH grades were evenly and continuously distributed in the upper layer, and it is judged that Carpinus laxiflora forest with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individuals will be maintained for the time being. In cluster Ⅲ, Quercus mongolica was dominant, but competition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densiflora was expe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pecies, it is judged that Quercus acutissim will dominate after Q. mongolica.

한국어

경상남도 남해군 망운산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23개의 방형구(400㎡)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 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의 조사구는 상수리나무-서어나무-팥배나무군집, 서어나무 -때죽나무-산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희귀수 종인 산닥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산닥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레피나무, 산철쭉, 싸리류의 상대우점치가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굴참나무와 팥배나무; 신갈나 무와 조록싸리; 쇠물푸레나무와 산철쭉; 조록싸리와 노린재나무나무나무나무; 산검양옻나무와 졸참 나무, 진달래; 졸참나무와 진달래; 때죽나무와 노각나무, 층층나무, 당단풍나무, 감태나무; 노각나무 와 당단풍나무, 감태나무; 당단풍나무과 감태나무 등의 수종 사이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 고, 신갈나무와 서어나무;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등의 수종 사이에는 부의 상관이 높은 편이었다. 군 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5930∼0.8205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별 분포는 군집Ⅰ에서 서어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가 경쟁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Ⅱ에서는 상층에서는 직경급이 고르게 연속으로 분포하고 개체수가 비 교적 많은 서어나무림이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Ⅲ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세한 가운데 상수리나무와 소나무의 경쟁이 예상되나 두 수종의 성상으로 보면 상수리나무가 신갈나무 다음으로 우세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2. 식생조사 및 환경요인
3. Cluster분석 및 종의 상관관계
4. 산림군집구조 분석
5. 다양도지수 분석
6. 흉고직경급별 분포
결과 및 고찰
1. 산림군집구조 분석
인용문헌

저자정보

  • 이운자 Un-Ja Lee.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장원영 Won-Young Jang.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이민숙 Min-Sook Lee.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이재완 Jae-Wan Lee.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정용주 Yong-Ju Jeong.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김동후 Dong-hu Kim.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김정수 Jung-Su Kim.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추갑철 Gab-Chul Choo. 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김민호 Min-Ho Kim. 경상국립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