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대학생의 우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time in Service Jobs

김경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nd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working part-time in service jobs. The dat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Google survey targeting college students working part-time in service jobs. 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of depression levels by BDI-II in the subjects was 12.35±10.96 points, with 93 (81.6%) in the normal group and 21 (18.4%) in the depressed group. The subjects' emotional labor levels were 3.16±.69 (1-5 points) and their self-esteem was 2.81±.57 points (1-4 poin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depression were self-esteem (β=-.632), the number of part-time jobs (β=.263), emotional work (β=.243), and part-time work per week (β=.242).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more 2 part-time jobs,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work, the more depressed the more part-time work per week was more than 30 hours. Therefore, along with the screening of depression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epression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depressed risk group, especially among part-time college students in service posi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대학생의 감정노동, 자아존중감, 우울에 관한 상관관계 및 우울에의 영향요 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조사는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변인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자, 빈도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BDI-II에 의한 우울수준의 평균은 12.35±10.96 점이었으며, 정상군은 93명(81.6%)이었으며 우울군은 21명(18.4%)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정노동 수준은 3.16±.69 점(1-5점)이었고, 자아존중감은 2.81±.57점(1-4점)이었다.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β =-.632), 아르바이트의 수(β=.263), 감정노동(β=.243), 주당 아르바이트 시간(β=.242) 순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 감이 낮을수록, 아르바이트를 2개 이상할수록, 감정노동 수준이 높을수록, 주당 아르바이트 시간이 30시간 이상인 경우에 우울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에 대한 우울 선별검사와 함께 특히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대학생 중 우울 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우울예방 중재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2.3 연구도구
2.4 윤리적 고려
2.5 자료수집 방법
2.6 자료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우울, 감정노동, 자아존중감수준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3.4 우울, 감정노동, 자아존중감 및 감성지능과의 상관관계
3.5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대학생의 우울에의 영향요인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경숙 Kyung-Sook Kim.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