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사천왕사지 출토 수파형전 유리질층의 원료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Glassy Layers on The Wave-shaped Tiles Excavated from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김세희, 김동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glassy layers on the wave-shaped tiles excavated from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were identified,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samples were ten green glassy layers separated from tiles. These samples were 2.62 to 4.43 mm thick and were sorted light and dark green.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green glassy layers, PbO was calculated from 73.0 to 78.9 wt.% (average 76.7 wt.%), SiO2 was calculated from 21.2 to 27.0 wt.% (average 23.3 wt.%).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high-lead glassy layers were made with high-purity silica stone and lea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d isotope ratios and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in the glassy layer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It is presumed that it was manufactured by fixing the wave-shaped tiles that had completed firing to a frame, putting a molten glassy onto it, and cooling it.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it is closer to the glass than the glaz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사천왕사지에서 출토된 수파형전의 유리질층에 대하여 재료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제작기법과 성격을 규명하였다. 분석 대상은 수파형전에서 분리한 녹색의 유리질층 10점으 로, 두께는 2.62∼4.43 mm이고 색상은 옅은 녹색과 짙은 녹색으로 구분된다. 분석 결과, 대상 유물은 주요 성분 함량이 PbO 73.0∼78.9 wt.%(평균 76.7 wt.%), SiO2 21.1∼27.0 wt.%(평균 23.3 wt.%)로, 순도가 높은 규석과 납 원료로 제작한 고연(高鉛)의 유리질층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납동위원소비와 미량 및 희토류 원소 분석 결과에서 원료 특성이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 기법은 소성을 완료한 수파형전을 틀에 고정한 후 그 위에 유리질의 융액을 붓고 식혀서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사천왕사지 출토 수파형전의 유리질층은 형태적⋅재료적 특성으로 보아 유약보다는 유리에 가까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
2.1. 수파형전의 발굴 현황
2.2. 수파형전의 형태적 특징
2.3. 연구 시료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4.1. 현미경 관찰
4.2. 색도 측정
4.3. 성분 분석
4.4. 납동위원소비
5. 고찰
5.1. 원료 특성
5.2. 수파형전의 제작기법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세희 Sehee Kim.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김동하 Dongha Kim.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