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이미지 분석을 통한 금속활자본과 번각 목판본의 구별과 번각순서 판정 : 남명천화 상송 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여섯 가지 판본 간의 비교

원문정보

Identification of Metal Type Prints, Recarved Woodblock Prints and Woodblock Recarving Sequences through Image Analyses : Comparisons among Six Versions of Jeungdoga Scripts

유우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me books were printed using metal type and woodblock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 some cases, there are postscripts that record the printing method, printing period, and the background that led to the print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rinting dates based solely on that information. When there are several versions of the same old book, it is possible to obtain evidence that can provide clues to determine the printing method and date of each version by imag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versions. In this study, images of six very similar versions of Jeungdoga Scripts (南明泉和尙頌證道歌) estimated to have been printed with metal type and woodblocks between the 13th and 16th centu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rinting method, sequence, and date were estimated. By quantifying and comparing the inked areas of randomly selected characters and corresponding characters in identical locations of different versions, the increase in stroke thickness and printing area in recarved versions was confirmed. Deformation and engraving errors in several characters were found in later versions. Of the six vers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Gongin version (空印本) was printed in early September 1239 with metal type, and is the earliest version. The other five versions were printed after being engraved with woodblocks in the following order: Banyasa Temple version (般若寺本), Daegu version (大邱本) in 1472, Samseong version (三省本), Jongno Library (鍾路圖書館本) in 1526, and t h e National Central Library version (國立中央圖書館本).

한국어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간행된 금속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고서가 여러 종류 전해지고 있다. 고서에 인쇄방법, 인쇄시기 및 인쇄에 이르게 된 배경을 기록한 간기가 있는 경우도 있으나 간기에 적혀 있는 정보만으로는 인쇄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동일한 고서의 판본이 여러 종류 존재할 경우에는 간기 및 고서 판본 간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각 판본의 인쇄방법과 인쇄시 기를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자료의 확보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13세기에서 16세기에 금속활자와 목판으로 인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매우 유사한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 歌) 여섯 가지 판본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각 판본의 인쇄방법, 인쇄순서와 인쇄시기를 추정하 였다. 동일한 위치에 인쇄된 동일한 글자의 인쇄면적을 정량화하여 비교하는 방법으로 번각에 따른 자획 굵기와 인쇄면적이 증가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번각과정에서 글자체의 변형과 여러 글 자에서의 판각 실수도 확인되었다. 여섯 가지 판본 중에서 공인본(空印本)은 1239년 9월 상순에 금속 활자로 인쇄된 것으로 가장 이른 판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나머지 다섯 가지 판본은 목판으로 번각하여 인쇄된 것으로 인쇄순서는 반야사본(般若寺本), 대구본(大邱本), 삼성본(三省本), 종로도서 관본(鍾路圖書館本), 국립중앙도서관본(國立中央圖書館本)의 순으로 판명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금속활자본과 목판 번각본의 이미지 비교
3.1. 판본 간의 개별 글자 모양과 인쇄면적 비교
3.2. 판본 간의 행별 글자 모양과 인쇄면적 비교
3.3. 서지학자들의 주장의 모순
3.4. 공인본에서만 나타나는 주물제작 결함
4. 고찰 및 결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우식 Woo Sik Yoo. 웨이퍼마스터스,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