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nfluence Factors on Nursing Practice by Clinical Nurses (in the COVID-19 Situ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practice of clinical nurse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improve nursing practice in the pandemic situation. For this descriptiv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119 clinical nurses in G City for six weeks from June 15 to July 20, 2022.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infection control practice (r=.428, p <.001) and resilience (r=.324,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rsing practice. As a factor affecting nursing practice of clinical nurses, infection control practice (B=.529, p <.001) had an explanatory power of 18.3%. This result is thought to be due to the fact that COVID-19 infection control acted as a new burden on nursing work in the COVID-19 pandemic, and recovery elasticity and job stress did not have an influence. It is however necessary to help clinical nurses relieve job stress and perform high-quality nursing through regular counseling for clinical nurses suffering severe job stres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업무수 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연구로서 G시에서 임상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119명 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15일부터 7월 2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분석을 위해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관리수행(r=.553, p <.001), 회복탄력성(r=.286, p <.001)이 간호업무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 수 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염관리수행(B=.529, p <.001)이 18.3%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코로나19 유 행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관리 자체가 간호업무수행에 새로운 업무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면 회복탄력성 과 직무스트레스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매우 높아 임상간호사의 주기적인 상담을 통해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양질의 간호업무 수행이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
2.5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간호업무수행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수행차이
3.4 대상자의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간호업무 수행 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