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용작품 「사이의 여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 Dance Work The Void Space Between+

조은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entire process of creating and performing the author's dance piece The Void Space Between with a them of ‘spatial distance’, which wa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of social distancing caused by COVID-19 in early 2020.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based on human perception of distance, which is an invisible area, by applying practical research methodology to dance works that deal with social issues. Study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problem of human spatial distance that will persist even in the post-COVID-19 era. As we move towards a global transition following COVID-19, it is important for us to reflect on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rough the lens of space distancing.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discussion of spatial distancing has been performed and studied as a form of dance. This study will provide follow-up choreographers with a small indication of how to wisely prepare for the post-corona era by thinking about life and art in an integral way.

한국어

본 논문은 연구자의 무용작품 「사이의 여백」의 창작에서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분석한 연구이다. 「사이의 여백」은 2020년 초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던 시점에 안무한 작품으로 사람 간의 소통에 변화와 혼란을 준 ‘공간적 거리’가 주제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담론을 다루는 무용작품에 실기기반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비가시 적 영역인 인간의 거리 감각에 기반한 상호 소통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될 인간의 공간적 거리 문제를 이해하고 얻은 지혜를 전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세계적 전환기를 맞이한 지금, 공간의 거리두기라는 화두로 인간의 본질적인 관계를 성찰할 수 있게 하고, 거리두 기에 대한 담론을 무용작품으로 공연하고 연구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후속 안무자들에게 삶과 무용예술을 통섭적으로 사고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현명하 게 대비할 수 있는 작은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작품의 핵심개념
Ⅲ. 창작과정
1. 안무 의도
2. 연습 방법 및 과정
Ⅳ. 「사이의 여백」 작품 분석
1. 작품 개요
2. 작품 분석
3. 시각적 요소
Ⅴ. 결과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은지 Cho Eunji.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