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ho kalokagathos)의 삶 : 『에우데모스 윤리학』 8권 3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Ideal Life of Ho Kalokagathos : A Study on Aristotle’s Eudemian Ethics Ⅷ. 3

구익희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106집 2022.09 pp.151-19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ho kalokagathos(a good and beautiful person) Aristotle suggests as an ideal person in his Eudemian Ethics Ⅷ.3 pursues to assimilate to God as much as possible. Aristotle compares ho kalokagathos with ho agathos(a good person) to explain who ho kalokagathos is. Aristotle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 terms of whether they consider to kalon(the beautiful) as their purpose or not. Ho agathos values to kalon, but only as a means of obtaining the natural goods (e. g. money, power, honor, etc.). Ho kalokagathos, on the other side, sees to kalon as an end. By examining what this difference implies, I attempt to demonstrate that kalokagathia (the good and beautiful), a virtue that makes a person ho kalokagathos, is to help its possessor not only fully possess individual virtues such as courage and temperance, but also develop a state of overall maturity and excellence as a rational being. This aspect of ho kalokagathos can be more elucidated by means of analyzing the standard ho kalokagathos has for the natural goods. In the end of Eudemian Ethics Ⅷ.3, Aristotle says that ho kalokagathos makes contemplation(theôria) and service(therapeia) of God the standard to choose and use the natural goods. It means that the life of ho kalokagathos is a life whose central activity is to contemplate and serve God: the contemplation of God refers to the activity of speculative reason; the service of God refers to the activity of practical reason that conforms to the order of the universe with God as its ultimate end. In the light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ndard, I point out that the life of ho kalokagathos consists in the pursuit of the assimilation to God and the participation in God’s life through both the activity of speculative reason and of practical reason. This shows why Aristotle describes ho kalokagathos as “the truly happy person”(ho alêthôs eudaimôn).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데모스 윤리학』 8권 3장에서 이상적인 사람으 로 제시되는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ho kalokagathos)이 “신과의 동화”를 추구하는 사람임을 보이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설명하기 위해 그 를 좋은 사람(ho agathos)과 비교한다.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과 좋은 사람 사이의 본질적인 차이는 아름다움(to kalon)을 목적으로 가지느냐 아니냐에 있다. 이 차이는 좋은 사람이 덕을 가치 있게 여기기는 하지만, 부, 명예, 힘과 같은 자연적 좋음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만 가 치 있게 여기는 반면,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은 덕을 그 자체로 가치 있게 여긴다는 것을 의 미한다. 이 두 사람의 차이를 자세히 검토함으로써,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가지게 만드는 아름답고도 좋음이라는 덕은 이 덕의 소유자로 하여금 용기, 절제 같은 개별적인 덕들을 온전 히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성적 존재자로서 총체적으로 성숙하고 탁월한 상태에 있도록 만든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의 고유한 삶의 모습은 『에우데모스 윤리학』 8권 후반부에 제시되는 자연적 좋음에 대해 그가 가지고 있는 기준을 통해서 더 분명하 게 드러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이 자연적 좋음을 소유하거나 사용할 때 가진 기준이 신을 관조(theoria)하고 섬기는 것(therapeia)이라고 말한다. 즉, 신을 관조하 고 섬기는 것에 이바지하거나 적어도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자연적 좋음을 추구하고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은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의 삶이 신을 관조하고 섬기는 것을 주요한 활동으로 가진 삶임을 의미한다. 이때. 신을 관조하는 것은 사변적 이성의 활동인 관조를 가리키고, 신을 섬긴다는 것은 실천적 이성을 통해 신을 정점으로 가진 우주의 질서에 부합 하는 행위를 하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의 삶의 특징적인 모습은 사변적 이성과 실천적 이성 모두를 통해 신적인 삶을 모방하고 그것에 참여하는 것이며, 이 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를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라고 평가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
1)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과 좋은 사람
2) 아름답고도 좋음과 개별적인 덕
3) 좋은 사람의 실패
3.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이 가진 기준
1) 행복한 삶의 모델로서의 신
2) 신을 관조하고 섬김
3) 참된 정치가로서의 아름답고도 좋은 사람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익희 Koo, Ick Hee.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