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유출 형사사건의 처리 실태와 개선 고려사항 논의 : 무죄사건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iscussion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s For Technology Leakage Crimes: Based on Acquittal Case

황경준, 권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protection is emphasized day by day, various protection measures are being carried out to protect technology. But attempts to leak technology are continuing. As an alternative to this, stronger punishment is socially required for technology leakage crimes. In response to these social demands, the standard for punishment has been steadily raised. Legislative bills containing additional reinforcement are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in order to substantially enhance the deterrence against crime, it is not enough to strengthen the punishment standards. The effect can only be fully exercised when the certainty of punishment increas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seeking ways to increase the certainty of punishment under the current system rather than the reinforcement of the punishment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reason why the innocence rate in technology leakage criminal cases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criminal cases by analyzing cases and causes of innocent cases in technology leakage criminal cases. Based on this, I discussed improvement considerations to reduce unfair acquittal cases.

한국어

기술보호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됨에 따라 기술보호를 위한 다양한 보호조치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기술유출을 위한 시도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기술유출 범죄에 대해 보다 강력한 처벌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 한 사회적 요구에 맞춰 그간 꾸준히 처벌 기준이 상향되어 왔으며 현재도 추가적인 강화 내용을 담은 입법안들이 국회에 계 류 중인 상황이다. 하지만 범죄에 대한 억제력을 실질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처벌 기준을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처벌의 확실성이 높아졌을 때야 비로소 그 효과를 온전히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처벌 자체의 강화적 인 부분보다는 현 제도 하에서 처벌의 확실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췄으며 이를 위해 기술유출 형사사 건 중 무죄 사건을 중심으로 사례 및 원인을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기술유출 형사사건에서의 무죄율이 일반 형사사건 대비 높은 이유를 도출해보고 이를 토대로 부당한 무죄사건을 줄이기 위한 개선 고려사항들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기술유출 형사사건의 처리 실태
2.1 기술유출 관련 글로벌 동향
2.2 법정형 및 무죄 현황
2.3 기술유출 형사사건 무죄 유형별 사례
3. 기술유출 사건 무죄율이 높은 이유
3.1 객관적 구성요건 부정
3.2 주관적 구성요건 부정
3.3 수사/공판 과정 절차 및 구조 한계
4. 부당한 무죄를 위한 개선 고려사항
4.1 법령 개정 내지 해석상 고려 필요사항
4.2 수사 과정 기술유출 피해자의 절차 참여
4.3 공판 단계 피해자 조력 범위, 절차 법제화
4.4 증거제출을 위한 비밀유지제도 법제화
4.5 사이버보안 측면의 기업 보안체계 전환
5. 적합⋅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경준 Kyung Joon Hwang.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권헌영 Hun Yeong Kwon.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