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투명 미디어의 비매개성과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

원문정보

Immediacy of Transparent Media and the User's Visual Experience

이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nsparent Devices in familiar media in everyday life, such as TV, glass, and immersive content, are becoming visible. This means a different user experience from the contents of opaque displays of printed media or existing digital media.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templated the visual experience of users in media based on visual and physical transparency. The basic attribute of transparent media are examined as non-mediated theory, and the user's visual perception process for the implemented content is examined by figure – ground theory. Objects that are transparently superimposed on the media installed environment, surrounding objects, and contents may appear visually complex, but the factor that strongly emphasizes the contents to the user's eyes is the movement effect. Based on this, content recognition and semantic interaction can be made smoothly. In addition, in terms of usability such as information search on transparently penetrative objects or regions, the advantage of being immediately visible in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search of digital media, and motion effects are added, enabling immediate interacti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he boundary between the media and the space to which it belongs is less clear than that of existing Transparent Media. The resulting ambiguity causes a natural transition between the non-mediated property of focusing on content and the hyper-mediated property of being aware of the media in a state that is naturally assimilated with reality. These properties are expected to bring scal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media with visible physical transparency to users.

한국어

TV, 글라스, 실감형콘텐츠 등 일상에서 친숙한 미디 어에 투명성이 반영된 디바이스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 는 프린팅 미디어나 기존 디지털 미디어의 불투명한 디 스플레이의 콘텐츠와는 다른 사용자 경험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아래 시각·물리적으로 투명성 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에서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을 고찰하였다. 투명 미디어의 기본적인 속성을 비매개 이 론으로, 구현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시지각 과정을 형상(figure)과 배경(ground) 이론으로 살펴보았다. 투 명하게 중첩되는 미디어와 설치된 환경, 주변의 오브제, 콘텐츠는 시각적으로 복잡한 상태로 보일 수 있으나 이 를 사용자 눈에 강하게 콘텐츠만 부각시키는 요인이 움 직임 효과이며, 이를 기반으로 내용 인식과 의미 상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하게 투 과된 대상이나 지역에 관한 정보탐색 등 사용성 측면에 서는 시야에 바로 보이는 장점과 디지털 미디어의 정보 검색, 움직임 효과까지 더해져서, 시공간의 구애를 받 지 않고 즉각적인 인터랙션이 가능하다. 투명성은 미디 어와 속해 있는 공간의 경계가 기존 미디어보다 뚜렷하 지 않다. 그로 인한 모호성은 콘텐츠에 집중하는 비매 개적 속성과 현실과 자연스럽게 동화된 상태에서 미디 어를 자각하는 하이퍼매개의 속성이 자연스럽게 전환된 다. 이러한 속성은 눈에 보이는 물리적인 투명성을 갖 는 미디어가 사용자에게 보편화되고 확장성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투명의 비매개성
2.1. 시각·물리적 투명성과 미디어
2.2. 비매개로서의 투명성
2.3. 투명 미디어 유형과 대상의 구현
3. 투명 미디어와 사용자의 시지각
3.1. 투명한 중첩 상태에서의 형상과 배경 지각
3.2. 시지각 과정에서의 움직임
4. 투명성에서의 의미 상호작용과 사용자 경험
4.1. 상향처리와 하향처리의 상호작용
4.2. 콘텐츠 활용의 편의성
4.3. 비매개의 모호한 경계성과 현실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수진 Lee, Soo Jin.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