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春秋經傳集解』 清原宣賢点의 字音注에 대하여 - 果攝ㆍ假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jionchu of “Chun qiu jing zhuan ji jie” marked by Kiyohara-Senken - Focus on the Guo (果) group and the Jia (假) group -

『춘추경전집해』 청원선현점의 자음주에 대하여 - 과섭ㆍ가섭을 중심으로 -

신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jionchu that are marked in the book “Chun qiu jing zhuan ji jie” (also known as Sen-ken-ten) that was written in the late Muromachi era and compared them with Bun-ei-ten that was written in the middle of the Kamakura era.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1) A comparison of the kanaonchu of the two documents indicated that 3,625 were marked in Bun-ei-ten, and 3,384 were marked in Sen-ken-ten. The later document, Sen-ken-ten, had fewer number of kanaonchu. 2) The result of comparing the fanqie & douonjichu of the two documents revealed that there are inconsistent usage examples; he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ersions of “Jingdian Shiwen” cited by Bun-ei-ten and Sen-ken-ten are different. However, since there are only a few examples of inconsistency, it is presumed that fanqie & douonjichu were cited from “Jingdian Shiwen of the Sou-han-pon series” while Bun-ei-ten was cited from Sou-han-pon. 3) The number of tone marks gradually decreased as the need for tones reduced through the versions. By the 16th century, there were only a few records of tone marks. However, numerous tone marks are present in Sen-ken-ten that was published in the late Muromachi er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en-ken-ten is a Confucian classic with tone marks marked on the original context of its earlier version. 4) In the case of Bun-ei-ten, 9,487 tone marks are present over 30 volumes whereas in Sen-ken-ten, 10,418 tones are present over 21 volumes, thereby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tone marks increased considerably. 5) In Ben-ei-ten, 173 light tones were marked out of 9,487 tone marks. In contrast, Sen-ken-ten contains no light tones among the 10,418 tone mark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ight tones completely disappeared.

한국어

本稿에서는 室町後期의 漢籍訓点資料인 春秋經傳集解清原宣賢点(宣賢点)에 加 点되어 있는 字音注를 분석하고, 鎌倉中期点인 文永点과 비교하였다. 仮名音注, 反 切․同音字注, 声点 등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자료의 仮名音注를 비교해 본 결과 文永点에 3,625개, 宣賢点에 3,384개 加 点되어 있어 後代 자료인 宣賢点에 加点數가 더 적었다. 2) 두 자료의 反切․同音字注를 비교해 본 결과 일치하지 않는 용례가 있어 文永点과 宣賢点의 典據資料인 經典釋文의 版本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 단, 그 용 례수가 많지 않으므로 宋版本을 典據자료로 삼았을 것으로 짐작되는 文永点과 마 찬가지로 宋版本系의 經典釋文으로부터 反切․同音字注를 인용했을 것으로 추 정된다. 3) 시대의 흐름과 함께 聲調 유지의 필요성이 저하되고, 16C 무렵에는 声点을 표기한 자료는 극히 일부로 한정된다. 단, 宣賢点의 경우 室町後期의 자료이기는 하나 經書이면서 前代 底本을 移点한 자료로서 많은 声点數를 보유한다. 4) 文永点의 경우 全30卷에 걸쳐 9,487개의 声点이 加点되어 있는 반면 宣賢点에 는 총 21卷에 10,418개가 加点되어 있어 声点 加点數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5) 文永点의 경우 9,487개의 声点 중 輕聲点은 173개이다. 반면 宣賢点은 10,418 개의 声点 중 輕声点은 단 한 개도 없다. 輕声이 완전히 소멸된 단계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1. 연구 자료
2. 연구 목적 및 방법
Ⅱ. 本論
1. 仮名音注
2. 反切ㆍ同音字注
3. 声点
Ⅲ.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지연 Shin, Ji-youn. 동국대학교 일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