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만엽집(万葉集)』 번역 텍스트의 핵심 구성 요소 고찰 - 발췌 번역본, 선집, (준)완역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re Components of the Translated Text of 『Manyoushuu』  - Focusing on excerpts, anthologies, and complete translations -

박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nslation of 『Manyoushuu(万葉集)』 was attempted through excerpts, anthologies, and complete translation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The components of the translated text of 『Manyoushuu』 include the original text, Japanese kundoku(訓讀), kana notation of kundoku, spoken Japanese, Korean translation, notes, and commentary. However, the core components of the translated text of 『Manyoushuu』 were rather different.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core components in each translated text was caused by whether the text was a newspaper, book or commentary. However, they were narrowly viewed as Japanese kundoku and Korean translations and broadly consisted of the original texts, Japanese kundoku, Korean translations, and notes. What elements can be added if the translation of 『Manyoushuu』 is attempted in the future? For example, ‘Kana writing in Roman characters’ or ‘Kana writing in Korean,’ which supplemented ‘Kana writing of kundoku,’ may be possible. In this study, the translated texts of Manyopjip published since 1945 were systematically divided into excerpts, anthologies, and complete translations, and their components were reviewed. Therefore, the core components common to all texts and those within each text were clarified. Additio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mentioned the components that may be added in the future.

한국어

『만엽집』 번역은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발췌 번역본과 선집(選集) 그리고 (준)완역서를 통해 시도됐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만엽집』  번역 텍스트의 구성 요소에는 원문, 일본어훈독(訓讀), 훈독의 가나(仮名) 표기, 일본어 구어역, 한국어역, 주 (석), 후기(해설)가 있었다. 그런데 『만엽집』  번역 텍스트의 ‘핵심 구성 요소’는 발췌 번역본과 선집 그리고 (준)완역서에 따라 다소 달랐다. 발췌 번역본에서는 일본어훈독과 한국어역이 핵 심 구성 요소였고, 선집에서는 원문과 일본어훈독 그리고 한국어역이 핵심 구성 요소였다. (준)완역서의 핵심 구성 요소는 원문, 일본어훈독, 훈독의 가나 표기, 한 국어역, 주(석)였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번역 텍스트에 보이는 핵심 구성 요소의 차이는 텍스트가 신문인가 단행본인가에 따라, 또한 주석서의 성격을 가졌는가 그렇지 않는가에 따라 생겼다고 판단된다. 한편 발췌 번역본과 선집 그리고 (준)완역 서 전체에 공통되는 핵심 구성 요소는 좁게 보면 일본어훈독과 한국어역이었고, 넓게 보면 원문, 일본어훈독, 한국어역, 주(석)였다. 그렇다면 향후 『만엽집』  번역이 새롭게 시도될 때 거기에는 구성 요소가 어떻게 이루어질까? 발췌 번역본과 선집 그리고 (준)완역서 전체에 공통되는 핵심 구성 요소를 유지하면서 출간 목적 등에 따라서 다양한 변용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 한다. 예컨대 ‘훈독의 가나 표기’를 보완한 ‘로마자 가나 표기’나 ‘한글 가나 표기’ 등이 추가된 것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나온 『만엽집』  번역 텍스트를 발췌 번역본과 선집 그리고 (준)완역서로 최초로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그 구성 요 소를 면밀히 검토한 후, 나아가 텍스트별 핵심 구성 요소뿐만이 아니라 모든 텍스트에 공통되는 핵심 구성 요소도 밝혀냈다. 또한 향후 새롭게 추가될 수 있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발췌 번역본
Ⅲ. 선집
Ⅳ. (준)완역서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상현 Park, Sang-hyun. 경희사이버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