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o determine the nature of goddesses in Korean myths, previous studies applied methodologies involving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changing patterns. However, these were limited in terms of revealing their multi-layered characters in general. Following the shift from a matriarchal to a patriarchal society, goddesses underwent changes including their subordination to men or degradation in terms of creativity and power. Myths are not fixed texts, but they tell stories transmitted over a long accumulation process. Myths are joint works based on layers of many years, meaning that goddesses in myths have multi-layered characters. Based on an MBTI personality te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goddesses' multi-layered characters among the public. Subjects were asked to answer each item in the MBTI test by getting immersed in goddess characters and giving reasons for their answers via essay questions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and specificity of their answers. The results reveal various types rather than one prevailing type. This indicates that those who enjoyed myths understood goddesses in multiple layers according to the ways they read texts. A follow-up study will supple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tendencies. The present study adopted a quantitative and hierarchical approach regarding the items that exhibited differences among the responses based on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ions, trying to avoid subjective analyses of the respondents’ answers as much as possible. After processing their answers as data and identifying keywords, word clusters with strong relationships were selected for topic modeling analysis. The narratives the respondents based their inferences for the characters of goddesses on were clarified. The multi-layered characters of goddesses were investigated by adopting different methodologies from previous studies.
한국어
한국 신화에 나타난 여신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는 유형 분 류, 변모 양상 분석 등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지만, 여신의 다층적 성격을 총체적 으로 드러내기에 한계가 있었다. 여신은 모권사회에서 가부장적 부권사회로의 변 천에 따라 여신의 창조성과 권능이 남성에게 종속화되거나 격하되는 변이를 겪어 왔다. 신화는 고정적인 텍스트가 아니라 여러 향유자에 의해 장기간의 축적 과정 을 통해 전승되어 온 이야기이므로 신화 속 여신의 성격 역시 다층적이다. 본고에서는 여신의 다층적 성격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MBTI 성격유형 검사 를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검사 대상자들은 여신에 몰입하여 MBTI 각 문항에 응답하는데, 답변의 신뢰성과 구체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관식으로 그 이유를 서술하 도록 했다. 검사 결과에 따르면 각 여신의 성격 유형이 한 가지 유형으로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유형이 분포한다. 이는 향유자가 텍스트를 읽는 방 식에 따라 여신이 다층적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응답에 차이를 보이는 항목 위주로 응답자들의 답변 에 대한 주관적 분석을 최대한 배제하고 계량적이고 계층적 응답자들의 답변을 데 이터로 처리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관련도가 높은 단어 군집을 추출함으로써 각각 어떤 서사를 근거로 여신의 성격을 유추한 것인지 해명 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기존의 텍스트 분석 중심의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MBTI, 토픽모델링 등 수치화된 분석 기법을 적용한 시론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여신 인식 양상 연구를 위한 디지털 프로세스
Ⅲ. 여신에 대한 대중의 인식 양상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