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s of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초록
영어
Elderly disabled people have high interest and desire for life satisfaction as they face the double risk of long-lasting disability and old age. Based on the disability paradox theory,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path that elderly disabled people'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e data, 1,713 people with disabilities aged 50 or older were sampled from the 5th wave of the 2nd wave of the 2020 Disabled Employment Panel Survey.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of the main variables were verifi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26,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by SPSS Process Macro Ver. 4.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stitutional and practical ways to exp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and a plan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in the cyber-physical space using the ICT platform was suggested.
한국어
고령장애인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장애와 고령의 이중위험에 직면하는 생애주기에 속하여 생활만족도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매우 높다. 본 연구는 장애역설이론에 근거 하여 고령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0년 장애인고용패널 조사 2차 웨이브 5차 조사 중에서 50세 이상의 고령장애인 1,713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주요변인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는 SPSS V26을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 증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은 SPSS Process Macro Ver. 4.1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활동참여는 생활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고령장애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하 여 사회활동참여의 기회를 확대하는 실천적,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ICT 플랫폼을 활용한 사이버-물리공간에서의 사회활동참여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장애 인의 사회활동참여가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대한 반응전환을 거쳐서 고령 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실증한 연구로 그 의의를 갖는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령장애인과 장애역설이론 관계
2.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사회활동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모형 및 가설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주요 변인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 사회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 경로에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5.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Ⅴ. 결론
Ⅵ.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