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Mediating Roles of Car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rocess and School Happiness of Adolescents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process, caring,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happiness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 total of 2,382 high school seniors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using BELS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family process, caring,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happines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family process, caring,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happiness. 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 in all variables except car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process, caring, and sense of community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school happiness. Finally, it was found that caring and sense of community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process and school happiness. Therefore, family proces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adolescents’ caring and sense of community as well as their school happines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배려, 공동체 의식 및 학교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BELS: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1 총 2,382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배려, 공동체 의식 및 학교 행복감 간의 유의한 상호관련성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배려, 공동체 의식 및 학교 행복 감에 유의한 성별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배려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배려, 공동체 의식이 학교 행복감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배려와 공동체 의식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청소년의 배려 및 공동체 의식은 물론 학교 행복감을 증진시 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배려, 공동체 의식 및 학교 행복감 간의 관계
2. 배려와 공동체 의식 및 학교 행복감 간의 관계
3. 공동체 의식과 학교 행복감 간의 관계
4. 변인들에 대한 성별 차이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각 변인 간 상관관계
2. 각 변인의 성별 차이
3.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
4. 직·간접 효과와 총효과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