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ase Studies of Survey on Violence in Schools : Focusing on US, the UK, and Australia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dvanced overseas cases of school violence survey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domestic survey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were selected as analysis countrie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cept,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by presenting an analysis fra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in the survey mainly uses the concept of bullying in the West, and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used in Korea is more comprehensive. In addition, the experience questions of school violence were largely divided into damage experience, abuse experience, and witness experience, and in the case of overseas,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damage experience. Finall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target country regarding the cause of school violence, help, change after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policy, and school environmen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urvey on school violence were proposed.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대한 국외의 선진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설문 조사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호주를 분석 국가로 선정하였고 분석틀을 제시하여 학교폭력 의 개념, 경험, 인식을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조사에서 나타나 는 학교폭력 개념은 서구에서는 괴롭힘(Bullying)이라는 개념을 주로 사용하며 우리나 라에서 사용하는 학교폭력 개념이 보다 포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폭 력의 경험 문항은 크게 피해경험, 가해경험, 목격경험으로 구분되며 국외의 경우에는 피해경험을 중심으로 설문을 시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인식에 대 해서는 학교폭력의 원인, 도움에 대한 인식, 학교폭력 이후의 변화에 대한 인식, 학교의 학교폭력 정책에 대한 인식, 학교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대상 국가별 어떤 특징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실태조사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선정
2. 자료수집 및 분석틀
Ⅲ. 국내·외 학교폭력 실태 선행연구
1. 국내·외 학교폭력 실태 및 대응
2. 국내 학교폭력 실태조사 동향
3. 국외 학교폭력 실태조사 동향
4. 호주의 학교폭력 설문조사
Ⅲ. 국내·외 학교폭력 실태조사 문항 비교
1. 학교폭력 개념 비교
2. 학교폭력 경험 문항 비교
3. 학교폭력 인식 문항 비교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