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인문학과 시민 교양 : 서울시 역사문화유적 표석 관련 사료 디지털화의 필요성 및 그 방안

원문정보

Digital Humanities and Civil Culture: the necessity and the method of digitalization of historical markers in Seoul

장진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storical markers (標石)’ are signs installed at historic sites, or spaces in which historically meaningful episodes have occurred. First built in 1985, the number of historical markers of Seoul account to 324 as of 2022. The city has carried out an extensive maintenance project from 2014 in order to correct the errors in locations and phrases of the markers. In the , conducted by Yonsei University’s Office of Research Affairs/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the inspection on all historical markers was completed by examining the 174 cases that were previously left uninvestigated. Including the results from this commissioned research,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historical markers owned by the city are data accumulated from years of effort and a large sum of budget; being such, its value can increase from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a digitalized, open database. The 2018⋅2019 research on historical markers were conducted with an aim to provide the materials for ‘civil 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which pursue a public communication of knowledge. Digitalizing records concerning historical markers will allow the memory/knowledge of Seoul’s history and culture to expand beyond the sites of historical markers, and be broadly utilized as sources of civil culture in a more extended and open space – in other words, the digital space. Following the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digitaliz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plans and matters in building a database on historical markers, by deliberating on the case of a sample database that was created during the commissioned research. Citizens already display a high interest to historical markers; thus a database on historical markers can serve as a fine material for civil culture. More active attention from researchers of related fields and the city of Seoul is warranted.

한국어

‘표석(標石)’은 현전하지 않는 역사적 장소, 또는 역사적 의미가 있는 사건이 발생한 공간에 설치한 표지물이다. 서울시 역사문화유적 표석은 1985년 처음 설치되어 2022년 현재 324개에 이른다. 서울시는 이 표석들 의 위치 및 문구의 오류를 시정하고자 2014년부터 대대적인 정비 사업을 시행했다. 연세대 산학협력단이 2018⋅19년 2회에 걸쳐 수행한 <서울시 역사문화유적 표석 사료 조사> 연구용역에서는 그때까지 조사되지 않은 174건 표석을 대상으로 사료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체 표석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했다. 이 용역의 성과물을 포함해 서울시가 보유하고 있는 표석 관련 사료는 오랜 시간과 예산을 들여 축적한 데이터로서, 디지털화-공개 된 데이터베이스의 제작과 운영-를 통해 그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2018⋅19년 표석 조사는 지식의 대중적 소통을 지향하는 디지털 인문 학의 관점에서 ‘시민 교양’의 자료를 제공한다는 목표를 갖고 수행되었다. 표석 관련 사료의 디지털화는 서울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기억/지식 이 표석이 설치된 물리적 공간을 넘어 보다 확장되고 열린 공간-즉, 디지털 공간-에서 시민 교양의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본고는 이상 디지털화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에 이어 용역 수행 당시 샘플로 제작한 DB의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표석 사료 DB 구축의 방법 및 유의사항에 대해 검토하였다. 표석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은 이미 높으며, 표석 사료 DB는 질 높은 시민 교양의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유관 분야 연구자들과 서울시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서울시 역사문화유적 표석 관련 사료 디지털화의 필요성
Ⅲ. 표석 관련 사료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진엽 Jang, Jin-youp. 성신여자대학교 한문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