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씨름의 체급 명칭 검토

원문정보

Review of the weight class names in the Ssireum competition

곽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weight class names of Ssireum matches. The conclusion are following in these. First, The existing weight classification situation. The amateur Ssireum weight classes can be divided into seven weight classes: Gyeongjang, Sojang, Cheongjang, Yongjang, Yongsa, Yeoksa, and Jangsa. The folk Ssireum weight classes can be divided into four weight classes: Taebaek, Geumgang, Halla, and Baekdu. The Women’s Ssireum weight classes can be divided into five weight classes: Maehwa, Nancho, Kukhwa, Daenamu and Mugunghwa. However, some weight classification methods have been mixed with their meanings thus the significance of classification is not clear. Second, The etymology of weight classification. The etymology of Cheonhajangsa can be examined through concepts of ‘Cheonha’ and ‘Jangsa’. ‘Cheonha’ means 'national or global' in the context of indicating the scope, and It implies the meaning of 'The world's best’ in the context of indicating the level. ‘Jangsa’ is a term that refers to a brave person with a strong build and physical strength like a warrior. The term ‘Janggun’ refers to a military officer in a very high position. ‘Seonsa’ means ‘selected people of talent, selected soldiers.’ Therefore, In the competition the term ‘Janggun’ should be the first in the ranking of the competition, and then the order of ’Jangsa’ and ‘Seonsa’ masters. Third, The limit of the existing weight classifi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Garam, Meo, Nuri, and Hanul, which were selected as entry names in the folk Ssireum weight class contest is not consistent with its standards and scope of application, so the difference in weight class is not clearly revealed. Also the seven amateur Ssireum weight classes are too subdivid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djust each weight class to four general weight classes: "Boy – Young man – Young adult- Senior". Fourth, The new weight classification. The five weight classes of women's Ssireum can be classified into "Geumgang – Daedonggang – Nakdonggang – Hangang" by applying the name of the four representative rivers of Korea and if the "Cheonhajangsa" weight class is added, It can be reorganized into five weight classes the same as the men's division. In this way, standardizing Amateur Ssireum weight classes into "Boy – Young man – Young adult- Senior" , and Men’s Ssireum weight classes Taebaek – Geumgang - Halla-Baekdu ,and Women's Ssireum classes "Geumgang – Daedonggang – Nakgang - Han River" highlights the integrated title of Korea's healthy adults and stands for beautiful Korean Mountains. Through this efforts, the ranking of the Ssireum weight class names can be sorted out, and the environment of Ssireum can be changed from the intangible heritage of traditional games to the "Ssireum" as traditional sport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씨름의 체급 명칭에 대한 검토이다. 이에 대한 내용 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존재하는 체급 구분 상황. 아마추어씨름 체급은 경장(輕 壯), 소장(小壯), 청장(靑壯), 용장(勇壯), 용사(勇士), 역사(力士), 장사(壯士) 의 7개 체급, 민속씨름은 태백(太白), 금강(金剛), 한라(漢拏), 백두(白頭) 의 4개 체급, 여자씨름은 매화(梅花), 난초(蘭草), 국화(菊花), 대나무(竹), 무궁화(無窮花)의 5개 체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체급 구분 방식은 그 의미가 뒤섞여 명확한 의의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 둘째, 체급 구분의 어원. 천하장사(天下壯士)의 어원은 ‘천하(天下)’와 ‘장사(壯士)’로 구분해 살펴볼 수 있다. ‘천하(天下)’는 범위를 나타내는 맥 락에서‘전국 또는 전세계’를 뜻하고, 수준을 나타내는 맥락에서‘천하제 일, 세계 최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장사(壯士)’는 체격이 건장하고 체력이 강대하여 두려울 것이 없이 씩씩한 사람을 일컫는 용어로 용사 (勇士)와 같은 말이다. ‘장군(將軍)’은 매우 높은 직위에 있는 무관(武官) 을 일컫는 용어이다. ‘선사(選士)’는 ‘선발된 인재, 정선된 병사’라는 뜻이 다. 따라서 대회 입상 순위에서 장군(將軍)이 으뜸이 되고, 다음에 장사 와 선사의 순서로 되어야 한다. 셋째, 기존 체급 구분의 한계. 민속씨름 체급 공모에서 가작으로 선정 된, 가람, 뫼, 누리, 한울 등의 구별은 그 기준과 적용 범위가 일관되지 않아 체급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아마추어 7개 체급 은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체급은 ‘소년(少年) - 청년(靑 年) - 청장년(靑壯年) - 장년(壯年)’의 4개 체급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넷째, 새로운 체급 구분. 여자씨름의 5개 체급을 한반도의 대표적인 4 대강의 명칭을 적용하여‘금강 – 대동강 – 낙동강 – 한강’으로 구분하고, ‘천하장사’ 체급을 추가하면 남자부와 동일하게 5개 체급으로 정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씨름 체급 명칭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아마추 어는 ‘소년-청년-청장년-장년’, 남자부는 ‘태백-금강-한라-백두’, 여자부는 ‘금강 – 대동강 – 낙동강 - 한강’의 각각 4개 체급으로 표준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건강함과 아름다운 금수강산의 의미를 담아서 표현 함으로써 통합타이틀인 ‘천하장사’ 명칭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 다. 아울러 씨름 경기의 체급 명칭에 대한 서열이 정리되고, 전통놀이의 무형유산에서 전통스포츠의 ‘씨름’으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씨름의 체급 명칭 유래
Ⅲ. 씨름의 체급 명칭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낙현 Kwak, Nak-hyun.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