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東文選』 소재 五言排律의 選詩 樣相에 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Zen Poetry Patterns of Five-Character Pailus in Dongmunseon

『동문선』 소재 오언배율의 선시 양상에 대하여

이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atterns of Zen poems in the five-character pailu form in Dongmunseon. Pailus had been recognized as a poetic style since Yuan, and pailu works were arranged in Lee Jon's anthology, Danginoeonbaeryulseon. Five-character pailus had long been created consistently, being used for the poetry albums at Eungjes and state exams in China. Seven-character pailus were utilized relatively more around Chanwoonsangsu among literary figures. There i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five- and seven-character pailu contexts and choices based on them, but there is an overall tendency between them. Chinese anthologies published before Dongmunseon mainly contain five-character pailus with the ceremonial pailus taking the center in the overall tendencies. Pailus also showed a tendency of being created by expanding into private areas and were freely utilized in the domain of daily life. Reflecting this flow of pailu poems, Dongmunseon‧Oeonbaeyul contained pailu poems in various aspects. This can also be seen as a trend of creating poems among the literary figures that accepted and utilized pailu poems since Goryeo.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three tendencies of five-character pailus in Dongmunseon, and they include "emphasis on the functionality of pailus," "acceptance of pailus in diverse lengths" and "acceptance of pailus with lyrical nature." An emphasis on the functionality of pailus represents the aspect that fully reflects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five-character pailus. The acceptance of pailus in diverse lengths was to overcome Chinese anthologies that put a relative limit on the length of pailus. The acceptance of pailus with lyrical nature reflects the historical flow of pailu poems that expanded from the area of ceremonial nature to that of personal daily life. The tendency of Zen poems among the five-character pailus in Dongmunseon reflects clearly the history of pailu poems as part of the literary history as well as the literary capabilities of literary figures that created pailu works since Goryeo.

한국어

본고는 『동문선』에서 수록한 오언배율의 選詩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배율은 원나라 이후로 하나의 詩體로 인식하였고, 李存의 『唐人五言排律選』부터 詩選集으로 정리하였다. 오언배율은 중국에서 응제 및 과거시험의 試帖詩로 활용하면서, 오랫동안 꾸준하게 창작하였다. 상대적으로 칠언배율은 문인들 간의 次韻相酬를 중심으로 활용하였다. 오언과 칠언 배율의 상황에 따른 선택이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그러한 경향성을 갖고 있다. 『동문선』 이전 간행한 중국의 시선집에서도 배율은 오언배율을 중심으로 수록하고 있으며, 대체적인 경향성은 의례적인 배율이 중심을 이룬다. 또한 배율은 개인의 영역으로 확대하여 창작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일상의 영역에서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문선‧오언배율』은 이러한 排律詩史의 흐름을 반영하여 다양한 측면의 배율시를 수록하였다. 한편으로 이것은 고려시대부터 배율시를 수용하고 활용한 문인들의 作詩 경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동문선󰡕에서 수록한 오언배율이 지니는 세 가지의 경향성을 ‘배율의 기능성 강조’, ‘다양한 편폭의 배율 수용’, ‘서정적 성격의 배율 수용’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배율의 기능성 강조는 오언배율을 창작하는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다양한 편폭의 배율 수용은 상대적으로 편폭에 제한을 두고 수록한 중국 시선집에 대한 극복의 측면으로 확인한 것이다. 서정적 성격의 배율 수용은 의례적 성격의 영역에서 개인의 일상 영역으로 확대한 배율시의 역사적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동문선』에서 수록한 오언배율의 選詩 경향성은 고려시대부터 배율을 창작한 문인들의 문학적 역량뿐만 아니라 排律詩史라는 문학사적 흐름을 잘 반영했다고 할 수 있겠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동문선』 오언배율 개관
Ⅲ. 오언배율의 選詩 樣相
1. 배율의 기능성 강조
2. 다양한 편폭의 배율 수록
3. 서정적 성격의 배율 수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희영 Lee, Hee Young. 상명대학교 글로벌지역학부 한국언어문화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