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의 안전문화 수준진단에 관한 소고

원문정보

Safety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fety Culture of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Expressway Operating Organizations

서정수, 정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afety culture by measuring/analyzing safety culture targeting employees of national core-based highway operating organizations. Method: Using the 'Safety Awareness Level Diagnosis Tool'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16 sub-factor measurement tools reflecting 4 safety culture areas and 4 safety culture activities were evaluated for a total of 144 items. were surveyed/analyzed by online questionnaire. Result: As for the results by safety culture area, “safe operation” was the highest, and “safe communication” was the lowest. As for the results of each safety culture activity, “safe execution (D)”, which evaluates whether the plan was implemented, was high. The lowest level of safety culture is “Safety Improvement (A)” Conclusion: When establishing a company'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measure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management is the level of safety culture. The ultimate goal is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afety culture level of the national core-based expressway operating institution. In the future, we intend to conduct a study on how safety culture affects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문화를 측정/분 석하여 안전문화 수준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안전 의식 수준 진단 도구를 활용하여 4개 안전문화 영역과 4개의 안전문화 활동을 반영한 16개의 하위요인 측정 도구 총 144개 문항을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 56개 단위 사업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 여 온라인 설문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문화 영역별 결과는 “안전운영”이 가장 높았으며 “안전 의사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안전문화 활동별 결과는 계획대로 실행되었는지를 평가하는 “안전 실행(D)” 이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은 수준의 안전문화으로는 “안전개선(A)”이다. 결론: 기업의 안전보건경영 대책 수립시 관리적인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 안전문화 수준이다. 궁극적인 목 표는 안전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의 안전문 화 수준을 영역별 활동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안전문화가 업무연속성관리체계(BCM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기존 선행연구의 고찰
연구 방법 및 분석
연구대상 및 방법
수준 진단 결과 및 분석
결론 및 향후 과제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서정수 Jeong-soo Seo. Ph.D Candidate, Depart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정종수 Chong-soo Cheung. Professor, Depart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