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수도권 도시철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절감 효과에 대한 환경 기여도 분석

원문정보

Evaluation of Environmental Contribution to the Effect of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 in Metropolitan Urban Railways

주재문, 홍기만, 홍영석, 김태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environmental contribution generated by urban rail users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mode choice and assignment of the traffic demand analysis were repeatedly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each line was not opened for the metropolitan urban railway lines 1 to 9. After that, the environmental contribution according to changes in demand for the road was analyzed. Result: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benefits were found to be the largest for subway line 1.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number of stations and length, it was analyzed that the environmental contribution was the greatest in Metro Line 4. Conclusion: Measures to promote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are representative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policies, but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for actual users/non-users to feel i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present the effect in order to improve and spread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철도 이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방법은 수도권 도시철도 1~9호선을 대상으로 각 노선이 미개통되었다는 전제하에 교통수요분석의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을 반복 수행한 후, 공로의 전환수요에 따른 각 노선별 환경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총량적인 측면에서는 도시철도 1호선에서 환경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수 및 연장을 고려할 경우, 도시철도 4호선이 가장 큰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중교통 이용 증진 방안은 대표적인 환경 개선 정책이나, 실제 이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 확산을 위해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분석 방법
분석 시나리오 및 수단선택 모형
도시철도 노선별 현행화 결과
도시철도 이용 수요 변화 분석
수단분담율 변화 분석
노선별 수요 변화 분석
도시철도 환경 기여도 분석
이산환탄소 배출량 추정 및 편익 산정 결과
노선별 환경 기여도 분석
결론
연구의 결론
연구의 한계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주재문 Jaemoom Joo. Research Associate, Local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Wonju, Republic of Korea
  • 홍기만 Kiman Hong. Post-doctoral Researcher, Department of Highway&Transportation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oyang, Republic of Korea
  • 홍영석 Youngsuk Hong. Research Professor, Disaster Response Traffic Management Center, Myongji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 김태균 Teagyun Kim. Director, Mobility Consulting Business Division, Studio Galilei Co., Ltd., Yongin,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