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문화공간 활용방안 : 광주향교와 희경루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 of Cultural Space for the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 Focusing on Gwangju Hyanggyo and Heekyungru

한종완, 정성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utilize cultural spaces for creative succession by examining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aspects of Gwangju Hyanggyo and Heekyungroo. To this end, the background and role of the emergence of Gwangju Hyanggyo Confucian School and Heekyungroo Pavilion, and the significance and succession patterns of traditional culture were investigated and described, respectively. Furthermore, it sought ways to utilize cultural spaces to creatively inherit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se cultural asse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wangju Hyanggyo Confucian School and Heekyungroo Pavilion were significant as cultural properties built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The case of overlapping traditional cultural aspects possessed by these cultural properties was also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plan to inherit the unique traditional culture style possessed by Gwangju Hyanggyo and Heekyungroo, but to use these cultural spaces as hybrid cultural spaces. How to creatively inherit the traditions of scholar cultu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Heekyungroo Pavilion as a cultural space limited to performance culture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excluding the spiritual culture enjoyed by Confucian scholars, would los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reborn as a high-leaved cultural space supported by cultur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Gwangju Hyanggyo in accordance with the suitability of the reconstruction site.

한국어

이 글은 광주향교와 희경루가 지닌 문화적 의의와 그 양상을 살펴 창조적 계승을 위한 문화 공간 활용방안 모색을 시도하는 데 목표를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광주향교와 희경루가 출현하게 된 배경 및 그 역할 그리고 전통문화적 의의와 계승 양상 등을 각각 조사하여 서술하였다. 나아가 이들 문화재가 가진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문화공간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광주 향교와 희경루는 조선시대 성리학의 영향으로 세워진 문화재로서 그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문화재가 보유하는 전통문화 양상이 중복되는 경우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광주향교와 희경루 가 보유한 특유의 전통문화 양식을 계승하되 이들 문화공간을 하이브리드형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방 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비문화의 전통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계승할 것인가. 유생이 향유하는 정신 문화를 배제하고 국악공연 등의 공연문화에 한정된 문화공간으로써의 희경루는 역사적 의의를 상실하 게 될 것임을 추정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재건되는 장소가 갖는 적합성에 맞게 광주향교와의 문화적 소통과 협치가 뒷받침된 하이브리드형 문화공간으로써 다시 탄생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광주향교와 희경루의 문화적 의의와 계승 양상
2.1 광주향교 설립 시기에 대한 이견
2.2 전통문화적 의의와 계승 양상
Ⅲ. 창조적 계승을 위한 광주향교와 희경루의 문화공간 활용방안
3.1 광주향교의 문화공간 활용방안
3.2 희경루의 문화공간 활용방안
3.3 하이브리드형 문화공간 활용방안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한종완 Han, Jongwan. 조선대학교 글로벌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화학부 부교수
  • 정성임 Jung, Sungyim.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