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Jung Kyung Tae pennamed Seokam is the advocate of Seokamje and the person who made efforts to popularize sijo through composition of Seonyulseonsijobo. This study conducted comparative study of Sijobu of Gukakbo, 2 types of versions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Go3716-6 and Go3716-10) and the version possessed by Han Byung Il as earlier records of Jung Kyung Tae’s Sijob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able of contents, it was found out that Han Byung Il’s collection referred to Sijobu of Gukakbo, judging by the notation of ‘Chungheory’ in ‘Chungheory Sijo (In Sanchon)’. Secondly, when it comes to Jisu-tone (means slightly shaking tone) among mark explanations, both version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at possessed by Han Byung Il provide the same explanation on the sound. This could prove that the version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at possessed by Han Byung Il are contemporary to each other.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scores of ‘Pyeongsijo Hansansum’, it was found out that Han Byung Il’s collection seems to have referred to Sijobu of Gukakbo and that the same version is pre-staged version of Seonyulseonsijobo of 1960, judging by the application of pitch name, which is one of mark explanation, to scores. Overall, it was found out that Go3716-10 from the collection possess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s earlier records of Jung Kyung Tae’s Sijobo is full version, while Go3716-6 is an abridged version, and that the collection possessed Han Byung Il is newly found version which was produced in 1958 and pre-staged version of Seonyulseonsijobo of 1960.
한국어
석암 정경태는 石巖制 주창자이며 「旋律線時調譜」를 만들어 시조의 대중화를 위해 힘쓴 인물이다. 이 연구는 정경태의 시조보 초기 판본에 대한 서지적 고찰을 위하여 「國樂譜」 時調部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종(古3716-6과 古3716-10) 및 한병일 소장본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차 비교 결과 ‘중허리 時調(山村에)’의 ‘중허리’ 표기와 각 지방제 등을 보아 1958년의 한병일 소장본은 1955년의 「국악보」 시조부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부호설명 중 ‘음정’의 ‘지수는 소리’에 대하여 2종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과 한병일 소장본은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한병일본과 유사한 시기의 판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악보 ‘平時調 閑山섬’ 비교 결과 한병일 소장본의 경우 「국악보」 시조부를 참고하였고, 부호설명 중 ‘음명’의 악보 적용을 살펴본 결과 1960년 「旋律線時調譜」의 전단계 판본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정경태의 시조보 초기 판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중 古3716-10은 전체본이며, 古3716-6은 요약본임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병일 소장본은 1958년 발행의 새로이 발견된 판본으로 「국악보」 시조부를 참고 하였으며, 1960년 「旋律線時調譜」의 전단계 판본임을 밝혔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2. 시조와 정경태
2.1 시조와 시조창
2.2 정경태와 시조보
3. 시조보 초기 판본 현전본의 조사
4. 시조보 초기 판본의 비교
4.1 목차의 구성
4.2 부호설명
4.3 平時調 閑山섬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