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 고종 37년 全州牧에서 조성된 「妙法蓮華經」의 조성시기 재검토와 판본의 성격 - 祇林寺 대적광전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권7의 사례 -

원문정보

A Study on Re-examining the Engraving Period of the Lotus Sutra - woodblocks’ printing preserved at Gyeongju(慶州) Girimsa Temple(祇林寺) -

고려 고종 37년 전주목에서 조성된 「묘법연화경」의 조성시기 재검토와 판본의 성격 - 기림사 대적광전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권7의 사례 -

鄭斗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ior researches and reports on the prints of the Lotus Sutra (妙法蓮華經) woodblocks preserved at Girimsa Temple (祇林寺) introduced several academical fallacies pertaining to its engraving period and the number of printed volumes. Existing studies maintain that these Buddhist scripture woodblocks were created during the year 1370 and were printed as a single-volume. In order to revise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structed three logical research methods. First, it thoroughly analyzed Girimsa Temple’s the Lotus Sutra woodblocks’ printing from the physical bibliography perspective. Second, it minutely observed the unique publication date of these woodblocks which does not illustrate Chinese era name. Third, the historical fact that human resources (刻手) mobilized from Goryeo Daejangdogam (高麗國大藏都感監) and Bunsadogam (高麗國分司都監) during Jeongju-town (全州牧)’s Buddhist woodblocks’ engraving business was used as a core barometer to pinpoint the precise date of this woodcutting. This particular historical material related to these engravers was offered by Dong-A University’s Seokdang-Hamjinjae (石堂函珍齋) which conserves Korean and Chinese antique documents. In short, these carvers such as Hye-Yi (恵耳) and Han-Pyeong (漢平) were the key determining the accurate production period as well as the nature of these woodblocks. Girimsa Temple’s the Lotus Sutra woodblocks’ printing needs to be closely re-examined in a bid to revise the academical mistakes made by previous scholarly journals. These errors hindered this masterpiece receiving its tru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Therefore, this paper’s main purpose is to provide reliable bibliographical sources to the academic future generations based on objective historical evidence.

한국어

기존 보고서 및 논문에서는 ‘庚戌年(고종 37년, 1250)’ 전주목에서 조성된 「妙法蓮華經」 판본에 대하여 해당 경전이 권7의 零本이고 판각시기를 ‘경술년(공민왕 19년, 1370)’으로 추정하여 지금까지 그 오류가 반복․재생산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세대들이 해당 판본에 담긴 역사․문화적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종 37년 전주목에서 조성된 판본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제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해당 판본의 권차와 함께 판각시기 및 성격을 새롭게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적용했다. 첫째, 고종 37년 전주목에서 조성된 판본의 인출본에 대한 형태 서지학적 기본정보를 구체적으로 정리․분석했다. 둘째, 干支로만 표기된 해당 「묘법연화경」의 간행정보를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다양한 기록․문화유산과 교차적으로 비교․분석했다. 셋째, 刻手를 핵심적인 분석지표 로 활용해 해당 판본의 판각시기와 판본의 성격을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는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의 해인사대 장경판 인출본에 표기된 각수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연구의 결과 고종 37년 전주목에서 조성된 「妙法蓮 華經」 판본은 전체 7권 가운데 권7의 영본이 아니라 권4-7의 영본임을 확인하였다. 판각시기의 경술년도 ‘공민왕 19년’이 아니고 ‘고종 37년’이라는 사실도 새롭게 도출했다. 아울러 이 경판 조성사업에 참여한 8명의 각수는 13세기 중엽 고려국 대장도감․분사도감에서도 활동한 동일 인물이었으며,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고종 37년 전주목에서 조성된 판본 또한 대장도감․분사도감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목차

<초 록>

1. 서론
2. 고종 37년 전주목에서 조성된 「묘법연화경」의 기본정보와 권차
3. 고종 37년 전주목에서 조성된 「묘법연화경」의 판각시기 재검토와 판본의 성격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鄭斗欽 정두흠.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역사문화학부 고고미술사학전공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