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scale used by Kwon Tae-il (2016) for important other, interdependence for important other by Kim Young-ok (2007), and resilience by Choi Sang-bok (2017) was used in this study. Chronbach's α value, which is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found to be 91~.94. I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after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procedure wa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validity of the scale through the SPSS+ 20.0 version statistical program.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variables were verified by co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among the key hitters of athletes, the friend group had the highest average of resilience controllability and positivity, and the leader group showed the highest average resilience sociality average. Second, the higher the athlete's interdependence with his family, the higher his controllability and social skills. In addition, the higher the interdependence with friends, the lower the controllability and positiv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important hitters other than the players' own efforts had an effect on the resilience formed by the athlete's interdependence with important hitter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 사회화의 요인 중 중요타자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운동선수로 최종 표본추출은 총98명이다. 본 연구에서 척도는 중요타자는 권태일(2016), 중요타자 상호의존성은 김영옥(2007), 회복탄력성은 최상복(2017) 등이 사용한 척도이다. 전체 신뢰도 계수인 Chronbach's α 값은 91~.94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절차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신뢰성의 검증절차를 거친 후 응답이 완료된 설문지는 SPSS+ 20.0 버전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 을 위한 요인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공변량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변인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운동선수의 중요타자 중 친구집단은 회복탄력성의 통제성과 긍정성의 평균이 가장 높으며, 지도자 집단은 회복탄력성의 사회성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선수 가 가족과의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통제성과 사회성이 높으며, 지도자와의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통제성과 긍정성이 높다. 또한 친구와의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통제성과 긍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선수가 중요타 자와의 상호의존성에 의해 형성되는 회복탄력성에는 선수 자신의 노력이외 중요타자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부분적으로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조사 절차 및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2. 중요타자와 회복탄력성의 차이 검증
3. 중요타자 상호의존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Ⅳ. 논의
1. 중요타자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집단 간 차이검증
2. 중요타자 상호의존성이 회복탄력성의 세 요인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