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적용 수업 참여에 따른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역량진단

원문정보

Diagnosis of Competency of Preliminary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Flipped Learning Application Class

강민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FL) class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innovative subject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2nd semester affects the competency diagnosis of preparatory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0 people) and a comparison group (20 people) targeting a total of 40 students who are in the second year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t B C University in A, and five sub-factors (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igher-order think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use, problem-solv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class participation by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2-way [2] RM ANOVA) using SPSS 25.0. In conclusion, preparatory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on in FL has a positive effect on higher-order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competency diagnosis. There were very positive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igher-order think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us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22학년도 1학기 혁신적교과목 운영에 따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수업 적용이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역량진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A도 BㆍC대학교 특수체육교 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총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20명)과 비교집단(20명)으로 구분하였으며, 역량진단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고차적 사고, 정보 및 기술활용, 문제해결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분석하 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여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2-way[2] RM ANOVA)에 의하여 수업 참여 전과 후를 분석하였다. 결론으로는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플립러닝 참여는 역량진단의 하위요인인 고차적 사고, 문제해결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수업방식에 따른 참여 시점인 전과 후에 있어서 모든 하위요인인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고차적 사고, 정보 및 기술활용, 문제해결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실험절차
4. 자료처리
Ⅲ. 결과
1.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분석
2. 고차적 사고 분석
3. 정보 및 기술활용 분석
4. 문제해결력 분석
5. 학업적 자기효능감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민채 Kang, Min-Chae. 중부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