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비만 인구의 디지털 헬스(e-Health & Mobile) 기반 운동 중재 프로그램 효과 : 체계적 문헌 고찰

원문정보

Effect of e-Health & Mobile-bas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in Obese and Overweight Population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박성원, 윤재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effect of a digital health-based exercise program on obese Koreans. For this research method, Korea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1, 2010 to July 1, 2022 were searched. As a final analysis target, exercise program based on digital health since 2015 was recently selected. For this study, a total of Korean digital health-based exercise program studies were selected for consideration according to publised year, author, title, program goal, overall duration, main content, subject and sample size, medium used, study design, frequency and effectiveness. Among the five studies that were finally sele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many studies measured actual values such as body weight, BMI, blood composition, body mass, hip circumference, and waist circumference, and some studies showed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changes. Overall, it was effective for weight loss an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a digital health-bas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bese population in the future, and it is thought that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한국어

비만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헬스를 기반한 신체활동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비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국내외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비만 인구의 디지털 헬스를 기반하여 운동 프로그램 을 제공하였을 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월 1일부터 2022년 7월 1일까지 발간된 국내 연구를 검색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으로 최근 2015년 이후 디지털 헬스를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발행 연도, 저자, 운동 프로그램 목표, 총진행 기간, 주요 내용, 대상자, 표본 크기, 사용 도구, 연구 설계, 주기, 효과에 따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유의미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 최종 선정된 연구 중 체중, BMI, 혈액 성분, 체질량 수치, 엉덩이둘레, 허리둘레 등과 같이 실질적 치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많았으며, 삶의 질, 행동 변화 등을 나타내는 연구도 있었다. 전반적으로 체중감소 및 신체 조성의 변화에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추후 디지털 헬스 기반의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비만 인구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앞으로도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문헌검색 및 자료 수집
2. 문헌 선택 및 분류
3. 비교 분석 및 결과 분석
4. 자료 분석
Ⅲ. 결과
1. 연구 대상자
2. 운동 프로그램
3. 사용 도구 및 사용 매체
4. 연구 설계 및 진행 기간
5. 효과 및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성원 Park, Seong-Won.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생
  • 윤재량 Yoon, Jae-Ryang.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